•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근대 봉녕사의 역사 검토와 화령전 원찰 (Historical Review on the Bongnyeongsa and the Memorial Temple in Hwaryeongjeon in the Premodern Er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3.12
37P 미리보기
전근대 봉녕사의 역사 검토와 화령전 원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각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각사상 / 20호 / 253 ~ 289페이지
    · 저자명 : 황인규

    초록

    본고는 수원 봉녕사의 전근대 역사를 검토한 것이다. 봉녕사의 전근대의 역사는 역사적 사실로 간주할 만한 관련 기록이 거의 없다. 봉녕사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성창사 혹은 창성사가 봉녕사의 전신인가 이다. 현존하고 있는 창성사 터와 현재 봉녕사와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성창사는 이를 뒷받침해 줄만한 관련 기록이나 야사 및 설화조차 전하고 있지 않고 있다.
    그 후 조선초에 봉덕사로 불리다가 남양주 운악사가 세조의 비인 정희왕후에 의해 세조의 능침사찰로 지정되면서 봉선사라고 하였던 같은 해인 1469년(예종 1) 세조의 삼화상인 혜각존자 신미가 중수하여 세조의 원찰로 삼았을 개연성이 없지 않다. 봉덕사는 鳳德山 奉德寺라고도 불렸으며, 대부분, 특히 조선시대의 ‘奉○寺’라는 사찰의 사례에서 보듯이 왕실과 관련이 깊은 사찰이었던 듯하다.
    그 후 봉덕사가 역사의 전면에 크게 부각되는 것은 1800년대 초 순조대 이후이다. 즉, 봉녕사의 사중에 전하고 있는 상량문에 의하면, 순조가 아버지 정조의 효심을 기리기 위해 어진을 봉안할 華靈殿을 짓고 그 원찰로 중창하고 ‘奉寧’라는 사액을 내림으로써 봉녕사라고 불리게 되었다. 화령전의 관리는 수원부 유수가 담당하게 하였는데 화령전의 원찰인 봉녕사도 관리 또는 후원하였을 것이다. 이는 수원유수였던 김병교가 봉녕사의 중수를 후원하였던 사실이나 화성을 감독하였던 박윤묵이 봉녕사 시를 남긴데서 알 수 있다. 순조가 자주 화령전에 제향을 올렸으므로 그 때 마다 원찰인 봉녕사에서도 역시 정조에 대한 추복불사가 있었을 것이다. 그 후 봉녕사의 탱화의 화기에서 볼 수 있듯이 봉녕사는 고종과 민비, 그의 아들 순조를 추복하는 등 왕실원찰이었다.

    영어초록

    The paper reviews the premodern history of Bongnyeongsa in Suwon. There is almost no record of the premodern history of Bongnyeongsa as historical facts. The most important issue here is that whether Seongchangsa or Changseongsa is the origin of Bongnyeongsa. The existing site of Changseongsa and the current location of Bongnyeongsa is too far and Changseongsa has no historical ground anecdote or legend to support the hypothesis.
    Then, the temple was called Bongdeogsa in early Joseon Dynasty and it may be possible to designate the temple as the memorial temple for King Sejo by Buddhist priest Shinmi of the king in 1469 (1st year of King Yejong), the same year when the Unmaksa in Namyangju was desigated as a royal tomb temple for King Sejo by his wife Queen Jeonghee. Bongdeogsa was called Taedeogsa in the Bongdeog Mountain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temple is related to the royal family like most of the temples with the name of 'Taesa' in Joseon Dynasty.
    Then, it was the early 1800 or early period of King Sunjo that Bongdeogsa was emerged on the front stage of the history. The deliberation document stored in Bongnyeongsa states thatKing Sunjo built Hwaryeongjeon to commemorate the filial love of his father, King Jeongjo, designate the temple as the memorial temple and delivered the name 'Bongnyeong', causing to call the temple as Bongnyeongsa. The Suwon governor was responsible for managing Hwaryeongjeon and it may be suggested that Bongnyeongsa or the memorial temple of Hwaryeongjeon was managed or supported. It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Suwon governor Byeonggyo Kim supported Bongnyeongsa or Yunmuk Park who supervised Hwaseong left a poem for Bongnyeongsa. King Sunjo frequently held memorial services to Hwaryeongjeon and it would be said that the memorial temple of Bongnyeongsa also held Buddhist services for his father King Jeongjo. As shown in the altar portraits of Bongnyeongsa, Bongnyeongsa is the memorial temple for the royal family to pray King Gojong, wife Queen Minbi and and their son, King Sunj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각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