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토론』의 오념문(五念門)에 나타난 자력성 논구 (A Study on the nature of self-power in five anu-smṛti)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6.03
25P 미리보기
『정토론』의 오념문(五念門)에 나타난 자력성 논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25호 / 259 ~ 283페이지
    · 저자명 : 구자상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인도를 대표하는 정토사상 관련 논서인 『정토론』을 중심으로, 왕생과 그 왕생행으로 제시된 오념문의 구조 및 성격을 분석하는데 있다.
    오늘날 정토사상은 대체로 불교의 목적인 성불을 현세가 아니라 사후 정토에의 왕생을 통해 완성한다는 의미로 이해되고 있는데, 이것의 사상적 단초는 담란(曇鸞)으로부터 비롯된다. 예컨대 담란은 그의 주저 『정토론주』에서 자신을 비롯한 범부중생의 성불도란 아미타불의 본원력[타력]에 의한 왕생을 통해서만 가능함을 규명하고 있다.
    그러나 『정토론주』는 단순한 주석서가 아니라 담란 자신의 불도관을 새로운 관점에서 해명한 것이라는 점에서 『정토론』에 대한 온전한 주석서로 보기는 어렵다. 이에 필자는 『정토론』의 구조와 내용 자체에 주목하여 『정토론주』의 주석으로 희석된 『정토론』 본래의 의미를 밝히는데 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 글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정토론』에 있어 왕생의 의미를 밝혔는데, 왕생이란 정토사상 일반에서 말하는 극락정토에 가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깨달음 그 자체, 즉 성불을 의미하며, 오념문을 통해 현실상에서 체득되는 것이라는 점을 논구하였다. 다음으로 왕생행으로 제시된 오념문의 구조를 분석하였는데, 오념문은 담란의 주장처럼 칭명 중심의 타력행이 아니라 관찰 중심의 자력행이라는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정토론』의 정토왕생이란 세간을 깨달음의 세계로 유도하기 위한 방편으로 차용한 것이고, 그 왕생으로 제시된 오념문도 실제로는 자력적인 것으로서, 아미타불의 본원력과 염불에 의한 정토왕생, 그것을 통한 성불이라는 구조로 된 담란의 정토사상론과는 일정한 차이가 있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five anu-smṛti(五念門) which is explained as rebirth in pure land and it’s practice. This should be based on Chin-tu-lun(淨土論) which is written by Vasubandhu(天親).
    In these days some may regard the thought of pure land Buddhism as to attain Buddhahood which completion is a goal of Buddhism through rebirth in pure land after death not through present life. This idea started with Tan-Luan(曇鸞). For instance, Tan-Luan said in Chin-tu-lun-chu(淨土論註) that the way of buddhahood for all living beings is reached only through rebirth in pure land by Amitābha’s Pūrva-pranidhāna power(本願力).
    However, The Chin-tu-lun-chu is not just a guide. It’s hard to say that it is an exact guide because Tan-Luan explained his own view of buddhism. Therefore, The author paid attention to Chin-tu-lun itself and tried to focus on uncovering the original meaning of Chin-tu-lun that was been watered down.
    This paper is composed of two sections. First, I discussed the meaning of rebirth in pure land in Chin-tu-lun. The rebirth in pure land does not meant literally, it means buddhahood itself. The second, I analysed the structure of five anu-smṛti. I tried to make a point that the five anu-smṛti is not practice of other-power as Tan-Luan said but is practice of self-power based on Śamatha and Vipaśyanā(止觀) By conclusion, the rebirth in pure land is intended to lead public into the buddhahood and five anu-smṛti is also practice of self-power. Therefore, it is different from the thought of pure land of today that says that rebirth in pure land by Amitābha’s Pūrva-pranidhāna power[Other-pow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