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6, 70년대 농업용어 순화의 정책사적 의의 (The Policy-Historical Significance of Agricultural Terminology Purification in the 1960s and 1970s)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4.12
43P 미리보기
6, 70년대 농업용어 순화의 정책사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배달말학회
    · 수록지 정보 : 배달말 / 75호 / 137 ~ 179페이지
    · 저자명 : 허철구

    초록

    국어 순화 정책은 언어순수주의에 경도되었고 쉬운 말 쓰기를 경시하였다는 점이 비판되어 왔다. 그런데 6, 70년대 과도기의 농업 분야의 순화는 쉬운 말 쓰기 정책이라는 점에서 독자적인 특성을 보여준다. 농촌진흥청의 ‘한글전용농업용어’ 제정(1969~1970) 목적이 명기된 당시 「관보」 기사를 통해 확인되듯이 이 작업은 이전의 「회보」(1962)의 순화 작업과 비교할 때 쉬운 말 쓰기에 특히 집중되어 있다. 농업 분야의 쉬운 말 쓰기는 이전 40년대 중반 「농민주보」, 60년대의 「새농민」 등 농업 전문 대중 매체의 어휘 사용 양상에서도 확인될 수 있어 이후의 농업용어 순화의 성격을 시사한다. 특히 한글농업용어집 (1971)이 이후 알기쉬운 농업용어 (1982)로 대폭적으로 수정, 발간되는데, 약 1,300여 단어가 삭제되는 이 작업의 배경도 쉬운 말 쓰기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국어 순화는 유신 정권 시기에 정치적 목적으로 변질되고, 그 과정에서 언어민족주의, 언어순수주의가 강하게 대두되지만, 적어도 6, 70년대의 농업용어 순화는 쉬운 말 쓰기의 관점으로 이해해야 한다. 국어 순화의 방향 재정립에 대한 요구가 많은 현 시기에 당대의 농업용어 순화 정책은 하나의 시사점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policy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overly influenced by linguistic purism and for neglecting the importance of using plain language. However, the simplification of agricultural terminology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1960s and 1970s exhibits unique characteristics as a plain language policy. This is evident in the enactment of hangeul agricultural terminology project (1969–1970) l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s noted in official government gazette articles. Compared to earlier purification efforts such as those in the Hoebo(bulletin) (1962), this initiative focused specifically on plain language usage. The emphasis on plain language in agriculture can also be observed in earlier publications such as the Nongminjubo(farmers’ weekly) (1940s) and Saenongmin(new farmer) (1960s), suggesting its influence on subsequent efforts in agricultural terminology purification. Notably, the Hangeul Agricultural Terminology Collection (1971) was significantly revised and reissued as the Simplified Agricultural Terminology (1982), with over 1,300 terms being eliminated-further evidence of the focus on plain language. While the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movement became politically co-opted under the Yushin regime, and linguistic nationalism and purism emerged strongly during this period, the agricultural terminology purification efforts of the 1960s and 1970s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promoting plain language. As demands for redefining the direction of language purification policies increase today, the agricultural terminology simplification efforts of the 1960s and 1970s offer significant insi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배달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