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07년 개정 漢文科 교육과정과 교과서 적용 방안 (Revised 2007 Chinese Classic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Application to Textbook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08.12
12P 미리보기
2007년 개정 漢文科 교육과정과 교과서 적용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敎育論集 / 31호 / 7 ~ 18페이지
    · 저자명 : 김여주

    초록

    2007년 2월 28일,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이 고시되었고, 2008년 4월 1일, 이에 따라 중학교 한문과목 교육과정 해설서가 발행되었다.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이전과 달리, 성격·목표 측면에서나 내용 체계 및 영역별 내용 등의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 국면을 제시하였다. 곧 한자의 단순 암기식 교육과 국어 어휘 관련 한자어 교육만을 주로 하던 한문과의 도구 교과적 성격에서 벗어나, 한문 자료를 읽고 이해하고 비평·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과로 전환한 것이다. 이는 한문과의 교과목 정체성과 위상을 재정립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자·한자어 교육에만 집중됐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한자·한자어·한문이라는 3단계 영역을 ‘한문’과 ‘한문지식’의 2개의 대영역으로 전환하였다. 이것은 한문 문장을 통한 내용 중심의 학습으로 전환하여 한문과 본연의 특성을 살리는 전문 교과적 성격으로 바꾼 것이다. 이렇게 ‘한문’·‘한문지식’으로 이원화 된 두 영역을, ‘한문’은 읽기·이해·문화로, ‘한문지식’은 한자·어휘·문장으로 범주화 하였다. 이는 한문과의 학문적 특성과 언어적 특성 등을 감안한 영역 분류이다.
    본 학회의 기획 주제는 ‘2007년 개정 漢文科 교육과정과 교과서 적용 방안’이었다.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에 직접 참여하였던 전문가들을 기획주제의 논문발표자로 의뢰하여 취지와 목적, 그 구체적 내용에 대한 심도 깊은 발제와 제언을 듣고자 하였고, 한문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여러 학자들과 집중적인 학술적 토론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논의 과정은 漢文科 교육과정 개정안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제대로 인지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한문 교육을 해야 하는 교사들에게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주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의 구체적 해석물이라고 할 수 있는 교과서 집필에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여 교과서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 담론의 장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On February 28, 2007, the revised Chinese Classics Education Curri -culum was announced, and on April 1, 2008, the guide book for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s Education Curriculum was published. The revised Chinese Classics Education Curriculum marked a noteworthy change in terms of content structure and content by area as well as characteristics and goals, differentiating itself from the previous Curri -culum. That is, the revised Curriculum seeks to change Chinese Classics Education from focusing on simple memor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teaching some characters for Korean language vocabularies to developing into an independent subject to improve learners' ability to read, criticize and appreciate texts in Chinese characters. This change is significant in that it re-established identity and status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To improve the problems of focusing on teaching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Korean, the former three-step areas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Korean and Chinese Classics were converted into the two big areas of 'Chinese Classics' and 'Knowledge of Chinese Classics.' It can be interpreted as a change into Chinese Classics Education as an inde -pendent subject to maintain its idiosyncrasy by switching to content- based learning through sentences from Chinese Classics. The dualized areas of Chinese Classics and Knowledge of Chinese Classics can be identified with a categorization effort: "Chinese Classics' as the category of reading, understanding and culture, and 'Knowledge of Chinese Classics' as that of Chinese characters, vocabularies and sentences. After all, this categorization reflects the disciplinary and linguistics characteristics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e main theme of the academic conference was 'Revised 2007 Chinese Classic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Application to Textbooks.' The specialis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revision project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Curriculum were invited to present their articles on the main theme to give in-depth presentations and offer suggestions on the detailed content of the revision work while a lot of scholars in the actual practice of teaching Chinese Classics were engaged in intensive academic discussions. The conference was meaningful in that it put forward with the directions for the right path to teachers in practice of Chiness Classics Education in school and suggested desirable directions in school textbook writing as a particular interpretation of the Curri -culum, serving as the arena for discourses to seek for applications to textboo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敎育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