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서울중앙방송국 대외방송의 전개과정 (The Overseas Broadcasting of Seoul Jungang Broadcasting Station in 1950s)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9.11
47P 미리보기
1950년대 서울중앙방송국 대외방송의 전개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언론정보연구 / 56권 / 4호 / 5 ~ 51페이지
    · 저자명 : 윤상길, 이정훈

    초록

    본고는 1950년대 서울중앙방송국의 ‘자유대한의 소리’ 방송이 탄생하여 정착, 확대되어 가는 과정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시도하였다. 1950년대를 전후로 한반도에서 전개된 복잡한 전파전의 양상 속에서 이승만 정부는 1953년 8월 15일 ‘자유대한의 소리 영어방 송’을 개시함으로써 독자적인 대외방송을 시도하고자 했다. ‘자유대한의 소리’ 방송 개 시를 통해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종료 이후 새롭게 시작된 전파전이라는 전쟁에 동참하 게 된 것이다. 여기에는 이승만의 정치적 동기와 외교정책이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1950년대 한국의 대외방송은 1956년 이중방송의 실시와 함께 한 단계 도약하게 되었다. 국내정치의위기를맞은이승만은방송에있어서국내공보와대외공보를나눠서시행 할 필요성을 크게 느끼게 되었고, 이런 필요성이 이중방송의 실시와 대외방송의 분화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1950년대 대외방송의 근간이었던 대북방송은 1956년 3월 서울중 앙방송국에 대북계가 발족된 이후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1957년부터 대북방송 은 방송 시간의 대폭 연장과 함께 재방송 시간의 점진적 폐지를 통해 방송 내용의 질적 향상을 꾀하고자 하였다. 한편 1950년대 중반 이승만 정부 외교정책의 중요한 한 축이었 던 반일정책을 정책적 배경으로 하여 대외방송의 본격적 출발점으로 시작한 대일방송은 1953년 10월 이래 결렬되었던 한일회담이 1957년부터 재기될 움직임을 보이는 데 큰 자 극을 받아 방송 시간을 늘리고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꾀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ettling down and expanding of the ‘Voice of Free Korea’ in the 1950s. In the midst of the complicated radio warfare that took place on the Korean Peninsula around the 1950s, the Rhee Syng-man administration wanted to try its own overseas broadcasting by launching the "Voice of Free Korea English Broadcasting" on Aug. 15, 1953. With the launch of the "Voice of Free Korea," Korea has joined the war of radio warfare, which began anew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Rhee's political motivation and foreign policy contributed to this. In the 1950s, Korea's overseas broadcasting took a leap forward with the implementation of dual broadcasting in 1956. Rhee, who has faced a crisis in domestic politics, has come to realize the need for a domestic public announcement in broadcasting, which seems to have led to the implementation of dual broadcasting. Radio to North Korea, which was the basis of external broadcasting in the 1950s, began full-fledged activities in March 1956 after the Daebook-kye(Department of North Korea) was launched by the Korean Central Broadcasting Station. Since 1957, the Radio to North Korea has sought to improve the quality of broadcasting contents by gradually abolishing the rerun time along with a significant extension of broadcasting time. Meanwhile, the Radio to Japan, which targets ethnic Koreans living abroad and foreigners living abroad, was greatly stimulated by the fact that the Korea-Japan talks, which had been broken since October 1953, are moving to resume in 1957, which is aimed at increasing airtim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ogr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언론정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