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06~1910년간 일제의 의병 판결실태와 그 성격 (A Study on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Court’s Judgments on the Korean Righteous Army(1906~1910))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8.02
38P 미리보기
1906~1910년간 일제의 의병 판결실태와 그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61호 / 5 ~ 42페이지
    · 저자명 : 김항기

    초록

    일제는 1906년 홍주의병을 진압하면서 발생한 포로 문제로 인해 한국 사법권을 획득하고 행사할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일제에 장악당한 재판소는 의병 피검자들을 처벌하기 위해 주로 「형법대전」 제593조 강도죄, 제195조 내란죄, 제677조 폭동죄를 적용하였다. 의병은 내란죄보다 강도죄, 폭동죄 같은 일반범죄로 처벌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시기적으로는 1907년 7월을 기점으로 이후로 갈수록 내란죄에 비해 강도죄의 비율이 증가했다. 지역적으로는 서울에서 가까울수록 내란죄 비율이 높았고 지방으로 갈수록 내란보다는 강도나 폭동으로 처벌받는 경우가 많았다.
    의병이 내란죄로 기소되면 원칙상 사형에 처해지게 되지만, 여러 감경 조항에 의해 실제로 유배형에 처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강도죄는 재물을 득하면 사형에 처해야 했으나 이 역시 여러 사유에 의해 감경되는 사례가 많았다. 여기에는 의병의 적극성, 주도성 여부가 크게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의병에 대한 강경 진압 방침으로 입장을 선회한 1908년 5월 이후에는 전반적으로 형량이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일본의 입장에서 의병 항쟁을 정치적 목적이 없는 일반범죄로 취급되어야 했다. 이는 13도 창의군이 거병하면서 의병을 국제법상 교전단체로 인정해 줄 것을 각국 공사관에 요청하고 항쟁을 이어간 것과 관련 있다. 의병이 국제법상 교전단체가 될 경우 의병은 국내법이 아닌 국제법상 포로 대우를 받아야하고 의병 토벌도 국제법상 교전 수칙을 지켜가며 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를 인식한 이토 히로부미는 1907년 6월 의병의 활동을 내란이 아닌 폭도들의 소요로 규정했고, 이후 의병 판결에서 내란에 의한 국사범이 아닌 강도죄 등으로 인한 상사범으로 처벌하는 사례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후 비슷한 시기 「형법대전」 개정에서 폭동죄가 추가되고 징역형을 집행하기 위한 감옥사무관련 법규가 신설된다는 점 또한 주목할 부분이다.
    일제는 형사재판권을 통해 의병을 정치성이 없는 일반범죄화하여 한국은 정치적으로 혼란하지 않은 평온한 상태임을 국제사회에 보여주고자 했다. 그 결과 의병을 국가적 법익을 침해하는 ‘國事犯’이 아닌 개인적 법익을 침해하는 ‘常事犯’으로 취급한 것이다. 즉, 의병 항쟁의 의미를 국가적 법익이 아닌 개인적 법익을 침해하는 사건으로 의미를 축소시키려 하였다. 이를 통해 탄압의 정당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상사범 취급을 하면서도 사형의 비중은 12% 이상이었고, 형량이 가장 강한 강도율을 적용하여 내란죄 이상의 형량을 유지하였다.
    일제는 외형적으로 ‘법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란에 관련 사건이라도 증거가 부족하면 무죄를 선고하기도 하는 등 ‘합리적인’ 모습을 보여주려고 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극소수에 불과했고 절차상 심급제를 지켜면서도 상고심에서 50% 이상의 사형 판결을 하는 등 강력한 처벌을 했다. 이처럼 일제는 한국을 강점하는 과정에서 형벌권을 통해 자신에게 반하는 세력을 억압하는 도구로 사용했다.

    영어초록

    The Japanese Empire suppressed the Hongju Righteous Army in 1906, and it has learnt the necessity of acquiring the judicial authority of Korea from the Korean Empire, in order to deal with the problem of the captured participants of the righteous army during the suppression operation. When the Japanese Empire gained control of the court of law, it made a decision to punish the participants of the Hongju Righteous Army for treason, burglary, and riot. At that time, prisoners that are related to the righteous army usually were punished rather for burglary than treason. The 7th month of 1907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increasing rate of burglary punishment for the captured participants in comparison with treasonable crimes.
    The Japanese Empire intented to treat the righteous army participants as a common criminal who did not have any political intentions. This was because the righteous army arose from the 13 provinces asked all the legations in Korea to recognize them as a belligerent community. If the righteous army was regarded as a belligerent community, the Japanese Empire had to deal with them according to the rules of engagement by international law. Ito Hirobumi, who was aware of this, regulated the righteous army as a mob and thereby the captured participants of the righteous army were started to be punished for a general offense such as burglary, not for a political offense. Around the same time, during the revision of Penal Code, a charge of rioting is added and the Prison Law was newly set up to conduct penal labour, as well. These can be regarded as an evidence of the Japanese Empire’s intention.
    Through the execution of criminal jurisdiction, the Japanese Empire regulated the righteous army as a common crime, in order to propagandiz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t Korea was in a state of peace. As a result, the righteous army participants were treated as a violater of a general offense, not a political offense. And thereby the significance of the righteous army was also dismissed as an invasion of individual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This is how the Japanese Empire justified their suppression operations against the righteous army. And, while treating the righteous army participants as a violator of a general offense, it still applied burglary crime for the punishment of them in order to inflict heavier penalty than rebellion cr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