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년대 북경지역의 흥사단원과 민족운동 (Heungsadan Members and National Movement in Beijing in the 1920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1.02
40P 미리보기
1920년대 북경지역의 흥사단원과 민족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42권 / 133 ~ 172페이지
    · 저자명 : 조규태

    초록

    이 논문은 1920년대 북경지역에서 활동한 안창호 등 흥사단원의 민족운동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북경지역에서 활동한 흥사단원과 그 조직인 천진지부와 북경단소, 그리고 흥사단원이 전개한 실력양성운동과 대독립당 조직 활동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안창호가 국민대표회의를 개최하기 위하여 1922년 중반 천진지역에 와서 유세를 벌이자 천진에서 교민단체를 이끌던 평안도 인물 김위택, 주현칙, 박일경 등 평안도계 인물들이 흥사단에 입교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흥사단 천진지부를 조직하였다. 천진지부의 지부장은 김위택, 총무 겸 재무는 주현칙, 간사는 박일경이었다.
    그리고 국민대표회의 후 좌절 후 안창호, 안정근, 김승만 등은 1924년 초 북경 서구 海甸에 해전농원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 장소를 배경으로 흥사단소를 마련하고 흥사단의 북경지역의 班을 편성하였다. 북경지역에서 활동하던 흥사단원들은 서북 출신의 기독교인과 유학생이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북경지역의 흥사단원들은 1924년부터 1926년 중반까지 임시정부, 의열단, 기타 독립운동단체와 직접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하는 대신에 실력양성운동에 매진하였다. 이들은 인격의 양성과 물력의 양성을 통해 독립운동을 준비하고자 하였다. 이들은 운동, 지식의 배양, 도덕의 수양, 분투적 수련 등을 통해 인격을 양성하고자 하였고, 해전농원의 운영을 통해 경제적 실력을 쌓고자 하였다. 한편 이들은 독립의식을 고취하고, 아나키즘을 수용하여 겸애적 공동체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한편 이들은 반공주의와 반소주의의 사상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북경지역 흥사단원의 노선은 북경의 창조파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그리고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계가 중심을 이룬 혁명사로부터 우경적 기회주의자로 비판을 받았다. 그리고 1926년 9월 경에는 한국재생동맹회로부터 참정권운동파와 자치운동파라는 비판을 받고, 독립운동계로부터 오해를 받기에 이르렀다.
    북경지역의 흥사단의 대표인 안창호는 1926년 9, 10월 경부터 창조파의 대표적 인물인 원세훈과 협의하여 대독립당조직북경촉성회를 조직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리고 북경지역의 흥사단원인 안창호, 이탁, 김광천, 박관해, 배인수, 등은 1926년 10월 10일부터 28일까지 북경 지역의 대표들과 여러 차례 회의를 갖고 대독립당조직북경촉성회를 조직하였다.
    이후 안창호는 1927년 1월 만주의 길림에 가서 강연회를 통해 참정권운동과 자치운동을 비판하고, 당시로서는 독립운동노선만이 조선 민중의 하나밖에 없는 독립운동노선이라고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독립운동세력의 대통합을 이루려고 하였다. 그리고 사회주의세력의 이탈로 대독립당의 결성이 어려워지자 1930년 1월 상해에서 임시정부의 요인들과 한국독립당을 결성하였다.
    이 글은 1920년대 중반 안창호를 중심으로 한 북경지역 흥사단원의 독립운동노선과 이에 대한 반대세력의 동향을 규명해내었다. 그리고 1926년 북경지역의 흥사단원이 대독립조직북경촉성회의 결성에 참여한 배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national movements of Heungsadan members, including An Chang-ho, who was active in Beijing in the 1920s. I reviewed the activities of the Heungsadan, the Tianjin Branch, the Beijing Danso, and the Heungsadan, which were active in the Beijing area, and the activities of the Grand Independence Party.
    When Ahn Chang-ho came to Tianjin in mid-1922 to hold a national representative meeting, Pyeongan-do figures Kim Wi-taek, Joo Hyun-chik, and Park Il-kyung, who led the Korean residents' group in Tianjin, joined the Heungsadan. They organized the Tianjin Branch of Heungsadan. The branch manager of the Tianjin branch was Kim Wi-taek, the general affairs and finance department was Joo Hyun-chik, and the executive secretary was Park Il-kyung.
    After the National Assembly meeting, Ahn Chang-ho, Ahn Jung-geun, and Kim Seung-man established the Haejun farm in the western city of Beijing in early 1924. In addition, Heungsadan Beijing Division area was organized. The Heungsadan members in Beijing were mostly Christians and international students from the northwest of Korea.
    From 1924 to mid-1926, Heungsadan members in Beijing engaged i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ability, instead of carrying out a direct independence movement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 Uiyeoldan, and other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They wanted to prepar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fostering character and physical strength. They wanted to cultivate character through exercise, cultivation of knowledge, moral discipline, and strenuous training, and to build economic ability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Haejun farm. On the other hand, they promoted the spirit of independence, accepted anarchism to create a benevolent community. They have expressed anti-communism and anti-Soviet Russia ideas.
    This politalcal doctrine of Heungsadan members in Beijing was attacked by the Beijing Creative People. They were criticized as a right-wing opportunist by the revolutionary group centered on the Irkutsk faction of the Communist Party of Korea. By September 1926, They were criticized by the Korea Regeneration Alliance as a suffrage activist and a self-governing activist, and was misunderstood by the independence movement community.
    As a way out of this criticism, An Chang-ho, the representative of the Heungsadan Beijing Division, agreed to organize the Great Independence Party Organization Beijing Chromatic Society in September and October 1926, in consultation with Won Se-hoon, a representative of the creative faction. An Chang-ho, Lee-Tak, Kim Gwang-cheon, Park Kwan-hae, Bae In-su, and others, who were members of the Heungsadan in Beijing, held several meetings with representatives of Beijing from October 10 to 28, 1926.
    Afterwards, Ahn Chang-ho went to Gilim, Manchuria, in January 1927 and criticized the suffrage activist and the self-governing activist through a lecture, stressing that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the only way for independence among the Joseon people. After this, he attempted to achieve a grand unity of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Though the formation of the Grand Independence Party became difficult due to the departure of socialist forces, Ahn Chang-ho and Heungsadan members formed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in Shanghai in January 1930.
    This article identified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Heungsadan members in Beijing, centered on An Chang-ho, in the mid-1920s, and the trend of opposition forces against it. This will also help us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participation in the formation of the Great Independence Party Organization Beijing Chokseonghoe(the Beijing Promotion Association of the Great Independence Organization) of Heungsadan Group in Beijing in 1926.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