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이후 한국 영어열풍과 대학의 폐해 (Social Conditions of English Fever and Its Harmful Effects for Universities Since the 1990s in Kore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1.12
38P 미리보기
1990년대 이후 한국 영어열풍과 대학의 폐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2호 / 131 ~ 168페이지
    · 저자명 : 정미량

    초록

    한국 사회는 영어열풍의 결과로 영어 또는 외국어에 대한 균형을 상실했다. 정부는 세계화를 곧 영어습득, 국민의 국제적 경쟁력을 전 국민의 영어 능력 수준으로 등치시키며 개인을 집단적 광기 속으로 몰아넣고 있다. 무책임하게 밀어붙인 정부의 영어정책으로 공교육에서의 영어교육이 실질적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없게 되었고, 영어열풍에 휩싸인 학부모들은 자녀를 사교육 시장으로 내몰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제 한국의 개인들은 영어를 못하면 제대로 사람 구실을 하지 못할 것 같고 사람 대접을 받을 수 없을 것 같은 불안에 시달리고 있다. 영어는 더 이상 한국인에게 단순한 무역 용어나 학술 용어로서의 외국어가 아니라 이데올로기이자 권력의 기제가 되었다. 영어는 제도적으로 심리적으로 개인을 억압하고 강요하는 기제인 것이다. 이러한 영어열풍은 국제적, 사회적, 개인적 맥락에서 대학의 학문, 대학의 운영, 대학의 일상을 다음과 같이 황폐화시켰다. 첫째, 정부의 세계화 정책과 이에 따른 대학의 개혁 방향은 대학의 국제화라는 비젼 하에 대학의 가치와 학문을 조속한 시일 내에 미국과 영어에 편입시켜야 할 변방의 학문으로 전락시키고 있다. 둘째, 한국 사회 전 분야의 세계화와 실적주의 의식 확산은 영어를 능력과 성취의 기준으로 책정하게 하였고, 대학의 운영과 평가를 경쟁적으로 무분별하게 미국과 영어 위주의 대학 서열화 산정 방식 체제에 종속시키고 있다. 셋째, 개방과 경쟁력이라는 국가주의적 전체성 하에 영어는 무한한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절대 절명의 과제로 대학생들의 뇌리와 일상을 점령하고 있으며 이로써 대학 생활의 고립화와 학력의 저하가 초래되고 있다. 이처럼 영어 열풍은 대학 사회와 대학생의 가치관을 영어를 통한 발전과 성공이라는 신화로 점철시키고 있다. 우리의 대학이 지향해야 될 세계, 사회, 개인의 미래가 진지한 고민과 성찰 없이 막연한 영어 능력 습득으로 대체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대학의 영어 열풍은 영어에 대한 통념에 의문을 제기해야 한다. 영어가 한국 사회에서 차지하는 지위에 대한 의미와 영어 교육이 대학 교육으로서 추구되어야 할 가치 및 목표에 대한 근본적 질문이 제기되어야만 그 폐해의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An English fever in the Korean society has resulted in a loss of balance toward the language or foreigners. The government stressed that globalization meant people’s acquisition of English and the nation’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as equal to the level of people’s English skills. In this way, the government has been driving people into collective madness. Due to the government’s irresponsible policy for the language, English education at schools couldn’t have practical effects and parents who are being swept by the English fever are inevitably leading their children to a private education market. Now Koreans are feeling uneasy thinking they can’t function and won’t be treated properly if they can’t speak English. To Korean people, English is not a foreign language as simply trade or academic terms any longer, but an ideology and a mechanism of power. English is a mechanism to institutionally and psychologically suppress and press individuals. Such an English fever has destroyed learning of universities, operation of universities and daily lives of universities in the international social and individual context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s policy on globalization and the direction of reform of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policy are degrading values and learning of schools to frontier learning which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United States and English as early as possible under a vision of internationalization of colleges. Second, because of globalization of all parts of the Korean society and the spread of a mindset emphasizing achievement, English has become a criteria of abilities and achievement and operation and evaluation of universities have been subordinated into a system for ranking schools based America and English. Third, under the nationalistic totality of open-door policy and competitiveness. English is occupying university students’ minds and daily lives as an absolute assignment with which they can survive unlimited competition. As a result, a campus live is being isolated and students’ academic ability is getting worse. Like this, the English fever connects values of universities and students with a myth of development and success. Future of the world, society and individuals which universities should pursue are being replaced with vague acquisition of English abilities without seriously worrying and doing self-examination. About the current English fever at universities, solutions to its harmful effects can be sought only when questions are asked to social norms about English and basic questions are raised to the meaning of the position that English is occupying in the Korean society and values and goals which English education should pursue as college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