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년대 극장의 음향환경과 ‘소리’의 분화 (Sound-circumstances of the Theater in 1930`s and Differentiation of the Sound)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5.12
49P 미리보기
1930년대 극장의 음향환경과 ‘소리’의 분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50호 / 43 ~ 91페이지
    · 저자명 : 이광욱

    초록

    발성영화의 상영은 식민지 조선의 극장에 본격적으로 전기음향을 도입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이에 따라 어쿠스틱 음향이 지배적이었던 극장은 비로소 전기음향과의 감각적 경계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규정되게 되었다. 본고는 이와 같은 기술적 변화가 극장 내의 소리를 분화시키는 결과를 불러왔음에 주목하면서, 연극과 영화를 둘러싼 담론의 추이를 검토하고자 했다.
    식민지 조선의 극장에서 발성영화의 정착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초기 발성영화에 내재된 기술적 결함들은 소리 연행자의 유효기간을 상당기간 연장시킨 원인이었다. 이러한 환경은 신호와 잡음을 적극적으로 분리하면서 소통의 채널을 선택하는 수용자의 청취 기술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더욱이 이와 같은 기술은 수용자의 지식수준이나 문화적 배경에 따라 분화되면서 취향의 체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초창기 서양 발성영화는 수용자의 문화적 실천을 전제로 유통되었던 것이다.
    한편, 조선어 발성영화의 제작은 소리 연행자의 도움을 받지 않는 완결적 영화 텍스트를 목표로 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어쿠스틱한 소리들은 점차 영화에서 축출되게 되었으며, 원본성, 육체성, 현장성과 같은 특질을 지닌 ‘육성’은 연극을 비롯한 ‘실연’의 음향적 특질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청각적인 것’을 연극의 본령으로 여겨왔던 예술지향적 연극인들은 관객과의 즉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지는 ‘구연공간의 역동성’을 강조해왔으며, 이러한 경향은 연극이 ‘육성’을 발성영화가 갖지 못하는 청각적 특질로 여길 수 있게 됨에 따라 더욱 강화되었다. 반면 전기음향은 광범위한 공간에 소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었으며, 기술을 통해 매개된 ‘소리’를 사용하는 발성영화는 보다 사실적인 표현이 가능한 매체로 인식되기도 했다.
    이처럼 육성과 전기음향의 특장점을 의식적으로 견주는 가운데 신극진영의 몇몇 연극인들은 연극적 표현의 리얼리즘 문제를 재해석하고자 하는 양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와 같은 태도는 신극의 대극장 진출이라는 사건과 맞물려 나타나고 있는 바, 영화의 소리를 보다 리얼한 것으로 간주했던 신극인들의 매체담론은 육성의 전달범위를 넘어선 공간에서 상연되는 대사중심적 연극을 정당화하기 위한 방편이기도 했다. 다시 말해, 1930년대의 대극장론과 리얼리즘 수정론의 배후에는 전기음향에 특화된 공간에서 무리하게 육성을 발화해야만 했던 당대 극장의 음향환경과 그에 직면한 연극인들의 딜레마가 가로놓여 있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showing of talkie has triggered to introduce the electrical sound in the theater of colonial era. Consequently, the theater has redetermined as a space that could experience the sensual border between electrical sound and acoustic sound. Such a technical changing causes differentiating the sounds in the theater. This study tries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discourses about the drama and cinema.
    The introduction of talkie has been come gradually, and the technical flaw of the early talkies causes the extension of effective life of the sound performers for a long time in the theater of colonial era. This circumstances require the audile techniques of the consumers to select the active communication channel for dividing the signal and noise. Moreover, such technique has formed the system of taste in accordance with the knowledge level a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consumers.
    Meanwhile, the Chosun-talkie has a purpose to make the perfect text without support of the sound performers. As a result, the acoustic sound has been expelled from the movies, and the voice that has the features such as a originality, corporality, site-ness get settled as a sound feature of the live performance including the play. The art-oriented theatrical people who regard the audile features as a essence of the drama, have emphasized the dynamism of the stage formed in th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this currents have been reinforced moreover, as the theatrical people tried to define the voice as the distinctive sound feature of the play. On the other hands, the electrical sound was the effective way to transmit a sound for the wide space, and the talkie that using technically mediated sound, regarded as a media could show more realistic expression.
    Comparing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voice and electrical sound consciously, some theatrical people of New-drama tried to reinterpret the realism of the theatrical expression. In fact, this viewpoint has started to appear from the staging of the New-drama in grand theater. Therefore, the media discourse of New-drama that emphasizing the sound of the talkie has more realistic feature than the play, was the way to justify the dialogue-centric play performed in the space beyond the transmittable range of the voice. In other words, the backgrounds of the discourses in 1930`s, like the grand theater centrism and the revising of realism, was the result of the dilemma caused by the sound-circumstance of the grand theater ; The voice should be used in the specialized space for electrical sou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극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