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자감독제도 시행 10년의 성과와 향후 과제 (Outcomes and Future Challenges of the 10 years of electronic supervision system)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8.12
57P 미리보기
전자감독제도 시행 10년의 성과와 향후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보호관찰학회
    · 수록지 정보 : 보호관찰 / 18권 / 2호 / 161 ~ 217페이지
    · 저자명 : 김지선

    초록

    우리나라에 전자감독제도가 도입된 지 10년을 맞이하여, 본 논문은 지난 10년간의 전자감독제도의 시행 및 그 성과와 관련된 통계와 설문조사 자료에 기반해서 전자감독제도의 성과를 평가해보고 향후 효율적인 운영과 성과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네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부분은 전자감독제도의 성과에 관한 것으로 전자감독의 특별예방효과에 초점을 맞춰 지난 10년간 전자감독의 성과를 평가하였다. 두 번째 부분은 전자감독제도의 성과를 균형적인 시각에서 평가하기 위해서 전자감독의 의도치 않은 결과인 전자감독이 대상자의 일상생활 및 심리·정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평가하였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전자감독제도의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쟁점과 이러한 쟁점들이 성과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부분에서는 전자감독제도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대상자의 특성과 위험도를 고려한 다양한 전자감독 기술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처분단계와 각 처분단계의 목적에 적합한 전자감독 도입(예 : 재택감독, 단속적 GPS, 하이브리드 GPS방식), 알코올 중독자나 알코올 문제가 있는 대상자에게 음주측정기 기능이 결합된 부착장치개발 및 활용, 피해자 보호기능 강화를 쌍방향 전자기술 개발 및 활용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여성대상자 및 정신장애 진단을 받은 대상자의 증가 등을 고려해 이들 대상자의 필요와 욕구에 대응하는 처우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전자감독이 대상자의 사회통합 및 사회복귀에 장애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경보관련 지침을 합리적으로 조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넷째, 지난 10년간 전자장치의 개선이 주로 대상자에 대한 통제적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으나, 향후에는 장기간 착용해야하는 대상자의 편의성 관점에서 기술개발과 예산투자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넷째, 부착기간을 법개정 이전으로 단축하고, 보안처분이라는 목적에 적합하게 부착명령 결정 시점을 형종료시점으로 변경하고, 부착명령 결정시 재범위험성과 더불어 집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예: 알코올 문제나 정신장애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2% 미만의 재범률이라는 유례없는 성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자감독 전담인력을 확충하고, 이들이 직무과정에 받게 되는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조직적 차원에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자감독제도에 대한 정례적인 평가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supervision system in Korea. At this point, this study analyze and evaluate the outcome of the electronic supervision system in the past 10 years, using the official statistics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s that have been published, related to electronic supervision. For this study purpose, this paper consists of four major parts. In the first part, this study evaluate the outcome of electronic supervision systems, especially in focus of the special deterrence effect for the past 10 years. In the second part, in order to evaluate the outcome of electronic supervision systems from a balanced perspective, this study would like to discuss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electronic supervision on criminals' daily lives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s. In the third part, this study look at various issues rais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supervision system and evaluate its impact on the outcome of the electronic supervision system. In the fourth part, this study suggests alternatives to be improved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electronic supervision system in the future.
    As a future task, this study proposed various electronic supervision technolog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risk of target. Depending on the disposal stage to which electronic supervision is applied and the personality and risk of the target person, it is necessary to utilize various electronic monitoring methods such as restriction of going out via a voice recognition device, home detention by RF method, passive GPS, active GPS, hybrid GP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an interactive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victims and the use of electronic monitoring equipment with drinking measurement function. Second, the necessity of electronic device improvement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subject was suggested. Third, this study proposed a downward adjustment of the prolonged attachment period and the activation of a temporary release measure for sex offenders. Fourth, this study propos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person who influence the electronic supervision enforcement when deciding the attachment order and to make the attachment order decision at the end of the sentence. In addition, this study argued about the need to expand the number of electronic supervision personnel and manage stress from their work,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gular evaluation studies of electronic supervision syst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