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국의 유럽공동체(EC)-유럽연합(EU) 회원국 지위에 관한 재협상과 국민투표: 1975년과 2016년 사례에 대한 비교연구 (United Kingdom’s Membership in the European Communities and European Union: Comparative Analysis of Referendums in 1975 and 2016)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1.05
50P 미리보기
영국의 유럽공동체(EC)-유럽연합(EU) 회원국 지위에 관한 재협상과 국민투표: 1975년과 2016년 사례에 대한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 수록지 정보 : EU연구 / 58호 / 319 ~ 368페이지
    · 저자명 : 강유덕, 임태훈

    초록

    이 연구는 1975년과 2016년,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던 영국의EC/EU 회원국 지위에 관한 국민투표를 비교‧분석하였다. 1975년의 국민투표는 총선에서 승리한 노동당이 선거공약에 따라 영국의 가입조건을재협상한 후, 그 결과에 대해 실시한 경우이다. 2016년의 국민투표는 보수당의 선거공약에 따라 집권 후 보수당 정부가 추진한 EU 집행부와의새로운 협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한 것이며, 그 결과 EU 탈퇴가 결정되었다.
    분석 결과 양 차례의 국민투표는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다. 먼저, 집권당은 협상결과와 국민투표를 총선 공약으로 선언함으로써 협상 입지를강화했고, 요구 사항을 상당부분 관철시켰다. 반면에 캠페인 과정에서는모호하거나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또한 국민투표 결과가 EC/EU 탈퇴로 결정될 경우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지 않았다. 차이점은 국민투표에 앞선 협상에 있어 1975년의 협상이 주로 가입조건에 집중되었던데 반해, 2016년의 협상은 유럽회의주의 성향의 부상에 따라 EU의 운영방향에 관한 내용이 관심사가 되었다. 한편 1970년대와 2010년대 영국의 경제적상황 또한 국민투표의 논의와 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사료된다.
    흥미로운 점은 양 차례의 국민투표에 있어 정당과 관계없이 정책주권의 보호를 요구하는 탈퇴지지 측의 논리가 유사하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일관성은 EU의 발전과정이 결국 국가 간 협력과 초국가적 통합 간의 갈등임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킨다. 이러한 발견은 영국의 EU 탈퇴로 처음으로 회원국 수 감소를 경험한 EU 체제가 어떻게 통합 유지의 원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숙고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UK’s two referendums on the EC/EU membership that took place in 1975 and 2016. The 1975 referendum was driven by the Labour Government according to its manifesto in the general election in 1974. After coming to power, the Labour Government renegotiated UK’s membership with the EC and other member countries and put the outcomes on a referendum.
    The 2016 referendum took place in accordance with the Conservative Party’s election pledge to hold the referendum on EU membership. Following the result of the referendum in favor of leaving the EU, the UK became the first EU member that exit from the EU.
    Both referendums are similar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both governments (Labours in 1975 and Conservatives in 2016) pledged to hold a referendum on the EC/EU membership during the election campaigns in an attempt to take more advantageous position in negotiations. As soon as they came to power, the governments initiated a new negotiation with the EC/EU and put the results of the negotiations on a referendum. Second, both governments took an ambiguous or neutral position during the referendum campaigns.
    Besides, they did not provide an alternative to the case where the result of the referendum was decided to withdraw from the EC/EU.
    The difference in the two referendums are as follows; the negotiations in 1975 were mainly focused on the conditions of membership, whereas in the negotiations in 2016, the content of the EU's operation direction became a major concern due to the rise of Euroscepticism in the UK politics. Meanwhile, it is believed that the economic situation in the UK in the 1970s and 2010s also influenced the discussions and results of the referendum.
    Interestingly, in both referendums, the logic of the Brexit supporters is the protection of policy sovereignty regardless of political parties. This consistency reminds us once again th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U is, in the end, a compromise between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and supranational integration. These findings provid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ow the EU system, which experienced a decline in the number of Member States for the first time due to the UK's withdrawal, could secure the driving force for maintaining integ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EU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