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법률 담론에 나타난 하층 여성(성) (The Female Subalterns in the 1970’s Juridical Discours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1.04
30P 미리보기
1970년대 법률 담론에 나타난 하층 여성(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강인문논총 / 30호 / 33 ~ 62페이지
    · 저자명 : 김원규

    초록

    이 글은 1970년대 지식-권력으로서의 법률 담론에 나타나는 하층 여성상을 통해, 당시 지식-권력과 공모한 국가 기구가 하층 여성을 어떤 형태로 통제하고 관리하였는지를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것은 법률 담론을 통해 특정한 주체성(하층 여성성)이 어떤 식으로 (재)생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일이기도 하며, 이러한 담론이 ‘도덕의 담론’으로 기능하면서 어떻게 ‘건전한 국민’을 ‘상상’하는 데에 이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일이기도 하다.
    1970년대 법률 담론에서 하층 여성들은 국민의 ‘풍기’를 흐트러뜨리고, 성병을 옮겨 국민 건강을 해하는 부정적 존재로 표상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은 건전한 국민으로 거듭나기 위해 관리, 규율되어야 할 대상으로 규정된다. 국가는 지식-권력(법률 담론)과 공모관계를 이루면서 갖가지 세밀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하층 여성을 국가의 관리 하에 두려고 한다.
    하지만 규율하고 통제하려는 움직임 속에는 그것을 벗어나려는 흐름이 ‘함께’ 존재한다. 당시 일간 신문에 실린 사건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담론과 제도적 장치를 통해 하층 여성을 관리하면서 건전한 국민을 만들고자 했던 국가의 기획은 저항에 부딪히게 된다.
    하층 여성의 특성을 자기 식으로 규정하려 했던 1970년대 법률 담론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권력 담론의 폭력성만은 아니다. 여기에는 통제가 쉽지 않은 하층 여성에 대한 불안과 공포의 징후가 드러난다. 1970년대 하층 여성을 재현하고 있는 지식-권력으로서의 법률 담론은 그것이 견고한 것처럼 보여도 사실 균열과 저항의 흐름을 힘겹게 봉합한 불안정한 것임이 드러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way nation-apparatus manage the female subalterns in 1970s. Juridical discourse as the knowledge-power shows how nation-apparatus conspire with knowledge-power and control the female subalterns. Through these discourse which function as ‘moral discourse’ at the time, we can understand how they represent the female subalterns and how they use to imagine ‘the sound nation’.
    They represent the female subalterns negative images. In these discourse,the female subalterns disturb public morals and ruin people’s health through transmitting sexual disease. So they are characterized the targets of control for turning to ‘the sound nation’. Nation-states conspire with the knowledge-power(juridical discourse) and make many system to control the female subalterns.
    However, in the activities to restrain them, there are the simultaneous flux to escape from the control. As we can see the accidents in daily newspaper in 1970s, national projects for the female subalterns who were planned to make them to the ‘sound nation’ by powerful discourse and forcing systems are always confronted with resistance.
    We can notice not only the force in the juridical discourse which try to restrict the particularities of the female subalterns but also their fear and uneasy. Nevertheless the juridical discourse as knowledge-power are seemed to be very stable, they are actually unstable and hold out against the flux for the break and resist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강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