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14년 전후 경기도 면 지명의 개명 유형 연구 (A Research on the Renaming Types of Myeon Names in Gyeonggi-do Province around 1914)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2.06
40P 미리보기
1914년 전후 경기도 면 지명의 개명 유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명학 / 36권 / 37 ~ 76페이지
    · 저자명 : 김순배

    초록

    면 지명이 가지는 지시 기능은 조선시대 이래로 지방 행정과 조세 및 부역의 수취 체제를 강화하는 데 실용적으로 활용되었고, 상징 지명으로서의 면 지명은 일상생활에서 지명 언중들의 반복적인 사용과 인식을 통해 기초 단위의 생활권 내에서 일정한 지역 정체성을 구성해 왔다. 이 같은 지명이 가진 기능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군현과 동리 단위 지명들 사이에 존재하면서 지금까지 크게 관심 받지 못했던 면 지명을 대상으로 지명의 변천 유형을 기초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행정 지명의 변천에 있어 큰 영향을 미쳤던 1914년의 전국 행정구역 개편을 전후한 일제강점기 경기도 면 지명의 변천 및 개명 유형을 6가지, 즉 ‘합성 지명’명명, ‘유력 면 지명’ 명명, ‘유력 동리 지명’ 명명, ‘공유 지명’ 명명, ‘옛 지명’ 명명, 그리고 ‘새 지명’ 명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 초기 새로운 면 지명의 명명과 개명 과정에서 통폐합되는 면 지역 주민들 사이의 갈등과 분쟁을 최소화하기 위해 합성 지명, 공유 지명, 옛 지명, 그리고 새 지명 명명이라는 방식이 활용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그간 ‘왜식 지명’으로 오인 받아 왔던 일제강점기의 개명 지명들에 대한 객관적인 재평가가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영어초록

    The functions of place name, that is, toponym include three functions such as indicating, symbolizing, and representing function. The indicating function has been used to strengthen an acquisition system as taxation and compulsory labor since the Joseon dynasty period in Korea. Simultaneously, the symbolic function has been being constitutive of regional identity through processes of talking and recognizing toponyms in daily life within a Myeon (面) administrative district during one’s speech. Paying attention to these functions of toponyms,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renaming types of Myeon names which have not been more interested than county and village names in Korean academic fields of toponymy. In particular,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Gyeonggi-do Province around 1914, Japanese colonial period by which Korean administrative names has been most affected had produced the six renaming types of Myeon names: Naming after composite name, powerful Myeon and Dong/Ri (洞/里) name, sharing name, old historical name, and new name. For minimizing dispute and conflicts arisen between residents in Myeon district amid naming and renaming in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it is identified that the renaming methods such as composite name, sharing name, old historical name, and new name were used effectively. Consequently, it is obvious that toponyms renamed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have been misunderstood as Japanese (倭式) names are needed to be objectively reevalu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