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완결성과 탈출성: 감각의 사실과 사실의 감각―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초반 남북한 문예의 비교예술학적 고찰 (Completion and Escapeability: the Sense of Facts and the Fact of the Senses― A Comparative Art Study on the Literature and Arts of North & South Korea in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9.12
24P 미리보기
완결성과 탈출성: 감각의 사실과 사실의 감각―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초반 남북한 문예의 비교예술학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08호 / 91 ~ 114페이지
    · 저자명 : 홍지석

    초록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 다수의 남한과 북한 예술가들은 모두 개념과 도식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안으로 감각적 체험에 주목했다. 하지만 남한과 북한 예술가들이 감각에 주목해야 했던 이유는 크게 달랐다. 먼저 4.19의 좌절로 인해 남한 예술가들의 마음에 자리하게 된 ‘뿌리가 뽑혀진 사람’들이라는 인식이 “어떤 조각이라든가 감각이라도 뭔가 확실한 것이 되도록”하는 경향을 낳았다는 주장에 주목할 수 있다. 1970년대 남한 예술가들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이념에 대한 적대감에 주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소위 피부문학은 완결성을 갖춘 리얼리즘을 요구하는 논자들의 비판에 직면했다. 마찬가지로 현실적 조형언어를 갖춘 미술을 원했던 논자들은 지각의 직접성을 강조하는 예술가들을 공격했다. 한편 1960년대~1970년대 북한예술가들은 이념의 부재를 메우기 위해서, 또는 이념을 거부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지배이념을 확증, 선전하기 위해서 감각적 체험에 주목했다. 즉 그들은 예술의 비현실적인 내용(사회주의적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 더욱 심각하고 더욱 생동하게 독자들을 자극할 방안을 모색해야 했다. 일반화의 약점을 일반화의 역할을 약화시킴으로써 해결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일반화에 절절한 구체적인 생활감정을 부단히 배합하는 과정을 통해서 일반화의 위력을 더욱 과시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런 접근법을 취함으로써 북한 예술가들은 감각에 호소하는 자극의 강도가 시간이 지날수록 익숙하고 진부해져 버린다는 냉엄한 현실에 직면해야 했다. 예술가들이 자기 작품을 통해 독자와 관객들을 더욱 강하게 충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것이다.
    요컨대 우리는 임헌영이 1971년에 제시한 분류법에 따라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의 남한문예를 탈출성에 경도된 예술로, 같은 시기 북한문예를 완결성에 경도된 예술로 분류할 수 있다. 이로부터 지금 우리가 문제 삼는 남북한 문예의 극명한 차이가 도출됐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예술가는 언제나 자기에게 결핍된 것을 욕망한다. 즉 탈출성에 경도된 예술은 완결성을, 완결성에 경도된 예술은 탈출성을 욕망할 것이다. 어쩌면 이러한 관찰로부터 우리는 1970년대 이후 남북한 문예의 변동을 비교 관찰하기 위한 유의미한 틀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모른다.

    영어초록

    In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a number of South and North Korean artists both noted their sensory experiences as alternatives to deviate from concepts and schematics. However, the reason why South and North Korean artists had to pay attention to their senses was very different. It can be noted that the failure of the April 19 revolution has led to the perception that "root-picked people" in the minds of South Korean artists, which has led to a tendency to "make any fragment or sense certain." It may also be noted for their hostility toward ideology that stood out for South Korean artists in the 1970s. The so-called skin literature, however, faced resistance from critics who called for completeness of realism. Similarly, critics who wanted art with realistic formative language attacked artists who emphasized the directness of perception. Meanwhile, North Korean artists paid attention to their sensory experiences not to make up for the absence of ideology or to reject ideology, but to corroborate and promote the ruling ideology. In other words, they had to seek ways to provoke readers more seriously and more lively to supplement the unrealistic content of art(socialist content). Instead of solving the generalization's weakness by weakening the generalization's role, They wanted demonstrate the generalization's power through the continuous mixing of the specific living feelings that are desperately needed for the generalization. Of course, if this approach is taken, artists should face the cool reality that the intensity of the stimuli appealing to the senses becomes familiar and common over time. They say that there is a limit to how strongly artists shock readers and audiences through their works.
    In short, South Korean literature from the late 1960s to the early 1970s can be categorized as an art that was regarded as an 'escape type' and North Korean literature at the same time as an art that was regarded as a 'complete type'. From this point on, we might say that the stark difference in the art of the two Koreas, which we now take issue with, has been drawn. Of course, an artist always desires what he lacks. In other words, art that is reverent to 'escapeability will desire completion, and art that is adored to completion will desire escapeability. Perhaps from these observations, we can draw a significant framework for comparing and observing the changes in the literature of the two Koreas since the 197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