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1982-2020년 플라스틱 동적물질흐름분석 (Dynamic Plastics Flow Analysis for Korea between 1982-2020)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3.03
11P 미리보기
한국의 1982-2020년 플라스틱 동적물질흐름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환경공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환경공학회지 / 45권 / 3호 / 127 ~ 137페이지
    · 저자명 : 박주영, 장용철, 손민희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플라스틱 물질흐름과 시스템 축적량을 지난 40여년에 걸쳐 정량적으로 추정함으로써, 플라스틱의 효율적인 관리와 순환경제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동적물질흐름분석을 통해 생산, 수출입, 소비, 폐기물 관리의 생애주기 단계별 플라스틱의 물질흐름과 시스템 축적량을 정량적으로 추정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한국, 시간적 범위는 1982년부터 2020년까지이며,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수지 10종, 7가지 소비 부문 및 최종 제품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생산 및 수출입 흐름은 주로 통계 및 문헌수치를 활용하여 추정하고, 부문별 소비 및 처리방법별 폐기물 흐름은 분배 비율을 도출하여 추정하였다. 정적물질흐름분석과 달리 폐기물 발생흐름은 제품별 수명주기분포함수를 이용하여 추정하고, 시스템 내 사용 중인 축적량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결과 및 토의: 국내에서 1982년부터 2020년의 39년간 총 237백만톤의 수지가 생산되었고, 수출입 후 242백만톤의 플라스틱 일차제품이 국내에 공급되었다. 최종적으로는 207백만톤의 제품이 소비되었고, 이 중 71.1%에 해당하는 147백만톤이 소비 후 폐기물로 발생하였는데, 이 외에도 3.8백만톤의 폐기물이 플라스틱 제조 단계에서 발생하였다. 아직 사용 중인 플라스틱 축적량은 60백만톤으로 추정된다. 플라스틱 폐기물 중 약 24%가 매립, 29%가 소각되었으며, 47%는 선별 및 재활용 시설로 반입되어 처리되고, 이 중 27백만톤이 산업에서 재활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플라스틱 일인당 소비량은 1982년 15 kg에서 2020년 150 kg으로 증가하였고, 일인당 폐기물 발생량은 동일기간 2 kg에서 139 kg으로 증가하였다. 제품 중에서는 포장재 및 용기 제품, 수지별로는 PP, PE 계열의 소비 및 폐기물 발생이 두드러졌고, 사용 중 플라스틱의 거의 절반은 건물용으로, 이 중 절반 이상이 PVC로 나타났다. 결론: 플라스틱 동적물질흐름분석을 통해 플라스틱 물질흐름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폐기물 흐름의 제품별, 수지별 조성과 사용 중 축적량 또한 추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래의 폐기물 발생 패턴을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선해 나가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Korea’s plastic flows and stocks over the past 40 years to provide a quantitative basis for the nation’s plastic management and circular economy. Methods: Dynamic material flow analysis was conducted to quantify plastic flows across lifecycle stages and to estimate the size of in-use stocks. Focusing on 10 resins and 7 produc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1982 and 2020 and at a national level. Production and trade flows were mainly quantified based on statistic and literature data, while consumption and waste flows were estimated using transfer coefficients. Different from static material flow analysis, waste flow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products’ lifetime distribution functions, and the changes in in-use stocks were estimated. Results and Discussion: Between 1982 and 2020, Korea produced 237 million tons of resins and provided 242 million tons of primary plastic products after trade. Approximately 207 million tons of final products were consumed, 71.1% of which was generated as post-consumption waste and additional 3.8 million tons of waste was generated from manufacturing stage. The amount of in-use stock of plastic was estimated to be 60 million tons. Of the 151 million tons of plastic waste, 24% was landfilled, 29% was incinerated and 47% was entered into sorting and recycling facilities. After sorting and recycling, 27 million tons was estimated to be recycled into products. From 1982 to 2020, per-capita plastic consumption increased from 15 kg to 150 kg, and per-capita waste generation increased from 2 kg to 139 kg. Packaging and containers, or PP and PE represented a major share of plastic consumption as well as waste generation. On the other hand, about a half of the plastic stock was used for buildings and more than 50% of the building plastic stock was PVC. Conclusions: This study used a dynamic material flow analysis to quantify plastic flows over time, identify the composition of plastic waste flows according to resins or products, and to estimate the size of in-use stocks. Such information on the waste composition and in-use stocks would be useful to improve recycling systems and to estimate future waste flow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