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10년대 韓中 儒林의 교류와 孔敎運動 (The Interchange of Between Korean Confucian and Chinese Confucian in 1910’s, and Gong’gyo Movement 孔敎運動)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3.12
52P 미리보기
1910년대 韓中 儒林의 교류와 孔敎運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77호 / 145 ~ 196페이지
    · 저자명 : 서동일

    초록

    이 논문은 1910년대에 유림의 중국여행이 빈번하게 진행된 원인을 밝힘으로써 1910년대 한국 유교의 사상사적, 운동사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 글이다.
    1910년대 유림의 중국여행은 시기적으로 1912~1916년에 집중되었다. 특히 李承熙ㆍ芮大僖ㆍ李炳憲ㆍ李鉉德ㆍ丁敦燮ㆍ趙貞奎 등은 孔敎會 본부가 있는 北京과 공자 탄생지인 曲阜를 도착해 陳煥章ㆍ李時品ㆍ李文治ㆍ龍澤厚ㆍ薛正淸ㆍ孔令貽ㆍ孔祥霖 등 孔敎會ㆍ孔道會ㆍ衍聖公府 간부를 만났다. 중국 유림 혹은 공교운동가들은 유교이론에 정통한 한국 유림의 방문을 환영했다. 특히 이승희는 孔敎會ㆍ孔道會ㆍ孔社 등 공교단체의 각종 의례ㆍ강연회에 초대되고, 중국 공교운동가들의 연이은 요청에 따라 유교교육과 의례에 관한 논문을 작성했다. 이승희의 논문은 작성과 동시에 신속히 『孔敎會雜誌』에 실렸다. 북경에서 국회가 개회되자 중국 공교운동가들은 이승희에게 교육정책 입안 작업에 동참할 것을 권유했다. 1914년에는 공교회 간부 이문치가 식민지 한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이처럼 孔敎를 매개로 한 한중 유림의 교류가 1912∼1916년에 집중된 원인을 한중 양측의 시각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에서는 1914년을 전후한 일본의 식민통치체제 구축, 총독부의 강제적인 유교정책 시행, 1915년 布敎規則 공포, 그리고 근대주의의 급속한 확산 등이 孔敎에 대한 관심과 유림의 중국방문 및 현지 유림과의 교류를 촉발하였다. 만주 한인사회에서는 한인의 신변 보장 및 이념적 결속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교가 주목되었다. 그 결과 공교회의 승인을 얻은 孔敎支會가 곳곳에 세워질 수 있었다. 중국에서는 신해혁명 이후 袁世凱의 帝制運動과 유림의 儒敎國敎化運動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는데, 중국 공교운동가들은 유교교육 및 의례에 정통한 한국 유림의 도움이 절실하였다. 이처럼 1910년대 한중 유림의 교류와 공교운동의 확산은 양국 유림의 이해관계가 정확히 일치하면서 가능하였다.
    한중 유림의 儒敎宗敎化運動 혹은 孔敎運動은 양국 유림이 제국열강의 침략과 유교문명 붕괴의 위기상황에 대해 공동의 생존전략을 준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과정에서 한국 유림은 만주ㆍ러시아 등을 여행하고, 중국 정치인 내지 유림과 접촉함으로써 한층 확장된 국제정세 인식을 가질 수 있었다. 나아가 이들 중 일부는 유교 부흥과 독립운동에 국제정세를 적극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영어초록

    A lot of Korean confucian visited to China for travel in 1910’s. We may find that not a few of them went to especially from 1912 to 1916. Did they go to search for refuge in the Colonial Period, or to prepare for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Japan? Why did they go to China at that time, and what did they do there? Actually, some of them went to northeast China for independence movement, but another of them, Lee Seung-hee 李承熙, Lee Byeon-heon 李炳憲, reached Beijing 北京 and Qufu 曲阜 went through several cities. Beijing, at that time, was the capital of China and was the city which had the headquarter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Confucius Religion, Gong’gyo’chong’hwe 孔敎總會. Qufu was the birthplace of Confucius and was the region which had the government organization to celebrate of the birth, Yeonseong’gongbu 衍聖公府. Korean confucian looked around the relics related to Confucius, and met the leaders of two organizations. Chinese confucian welcomed strange confucian from Korea because the Korean who comprehensive knowledges of confucian theories and Chinese confucian had been searching for such the knowledges.
    Korean and Chinese confucian shared one purpose. In Korea and the Korean community of northeast China, Korean confucian were trying to religionize confucianism to protect traditional confucianism from protestantism and the colonial system of Japan since 1910, and searching the possibility from Gong’gyo 孔敎(Confucius Religion). In China since 1911, Chinese confucian tried to adopt confucianism as nation religion to recover the status of confucianism. Korean confucian had comprehensive knowledges of confucian ceremonies and education systems. So, when Korean confucian visited to the China, the home of Gong’gyo, Chinese confucian welcom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