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에스페란토 문학 (The Study on Esperanto Literature in Colonized Joseon in the 1920s and 1930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6.02
23P 미리보기
1920-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에스페란토 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70호 / 183 ~ 205페이지
    · 저자명 : 문혜윤

    초록

    이 논문은 1920-3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명백한 하나의 현상이었던 에스페란토 문학의 현황과 그것이 추구했던 문학의 방향을 살폈다. 식민지 조선의 에스페란토 문학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 없는데, 이는 에스페란토가 ‘외국어’가 아니라 ‘국제 공통어’이기 때문에 국가 단위의 문학 분류 체계에 끼어들 자리가 마땅치 않았기 때문이다. 한국의 에스페란토 문학은 독자들이 접하는 언어를 기준으로 1) 에스페란토로 직접 제시되는 경우, 2) 한국어-에스페란토 번역이 함께 제시되는 경우로 나누어볼 수 있다.
    1) 에스페란토 문학은 번역 없이 에스페란토로만 소개되기도 하였다. 에스페란토 운동은 ‘1국가 2언어’의 이상을 강조하였는데, 에스페란토 직접 제시는 그 이상을 실현하는 상징적 행위로 여겨졌다. 어느 나라의 문학이었을 그것들이 이미 한 차례 에스페란토로의 ‘번역’을 거쳐 언어와 국적을 탈피하면서, 식민지 조선에는 ‘세계문학’이라는 형태로 전해졌다. 에스페란토 직접 제시는 언어 횡단의 비대칭성(언어들 사이의 언어 역학적, 사상적, 정치적 비대칭성)을 뛰어넘도록 만들었다. 2) 한국 문학이 에스페란토로 번역되거나, 에스페란토 문학이 한국어로 번역되기도 하였다. 하나의 자연어를 다른 자연어로 번역하는 것은, 한 민족어의 ‘판에 박은 사상과 표현’을 다른 민족어의 ‘판에 박은 사상과 표현’으로 옮기는 것이다. ‘고유의 관용 어법이 없’는 에스페란토는 ‘보편적 감정과 사상’을 그릴 수 있는 언어로 여겨졌으나, 에스페란토로의 번역을 위해 뽑힌 한국 작품들은 한국 문학의 차원에서도 이미 조선의 풍토를 반영하지는 않는 것들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state of Esperanto literature, which was clearly a phenomenon in colonized Joseon in the 1920s and 1930s, and the literary directions it sought after. The vogue of Esperanto in colonial Joseon started with interest in literature written in the language. But there are no studies that shed light on the ways Esperanto literature was distributed and enjoyed in Korea probably because there is no suitable place for it in the literary classification system by the ethnic group and nation units since Esperanto is not a "foreign language" but a "common international language. Based on the languages that the readers were exposed to, there were three types of Esperanto literature distributed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days: 1) the type that was presented directly in Esperanto, 2) (with including the type that was presented both in Esperanto and Korean translation) the type that was presented in Korean translation.
    1) Korean papers introduced Esperanto literature in full scale with no Korean translation. The Esperanto Movement highlighted the ideal of "one nation, two languages"(using the mother tongue in the nation and using Esperanto, the common language, in international exchanges). Introducing Esperanto literature in Korean papers with no Korean translation was considered as a symbolic act to fulfill the ideal. The literary works of other countries were "translated" in Esperanto and thus broke from the boundary of language and nationality, and they were delivered in the form of "world literature" to colonial Joseon. It was considered that Esperanto literature practiced the immediacy of the original work as it was, thus overcoming the translingual asymmetry or dynamic, ideological, and political asymmetry between the language to be translated and the one to translate.
    2) There were cases in which Korean literature was translated in Esperanto or Esperanto literature in Korean. One of the special linguistic merits of Esperanto is "no unique idiomatic expressions." Translating a natural(ethnic) language in another natural(ethnic) language is moving from the "stereotyped ideas and expressions" of an ethnic group to those of another ethnic group. Esperanto, which is considered to reflect no such limitations of ethnic language, can depict universal emotions and ideas with no ethnic characteristics. The works of Korean literature selected to be translated in Esperanto, however, did not reflect the climate of Joseon already even in the dimension of Korean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