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退溪의 ‘學以終身’과 ‘老年의 공간’ (Toigye’s ‘hakyijongshin(學以終身)’ and Space of Elde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5.09
31P 미리보기
退溪의 ‘學以終身’과 ‘老年의 공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79호 / 387 ~ 417페이지
    · 저자명 : 이석주

    초록

    이 글에서는 퇴계가 노년기로 접어들면서 학문적인 긴장감과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첨예한 갈등을 「갑인일록(甲寅日錄)」과 「고종기(考終記)」를 토대로 재조명하고, 또한 이를 통합하려는 퇴계의 시도와 변화를 모색했다. 이 두 편의 내용이 비록 짧기는 하지만, 퇴계의 학문적 입지를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다시 찾아주었던 「갑인일록」과 임종을 한 달 정도 남겨두고서도 끊임없이 실천적인 삶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았던 그에 관한 생생한 기록을 담은 「고종기」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퇴계는 자신이 선택한 학문을 ‘학이종신(學以終身)’의 신념을 토대로 실천해 나갔다. 그리고 여기서 ‘홀로있음’의 고독한 삶을 직면하게 되면서도 도덕적 책임을 이행하려는 의지에는 변함이 없었다. 특히 그는 자신의 학문을 성찰함에 있어서 수반되었던 ‘홀로있음’의 철저한 경계와 성찰은 넉넉한 ‘노년의 공간’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학문적인 열정이 모든 삶의 전부가 될 수는 없었다. 다시 말해서 촌로(村老)로서의 퇴계가 일상생활에서 겪어야 했던 가족 간의 충돌과 갈등은 끊임없이 지속되었다.
    이에 관한 일화로서 퇴계가 임종했던 해에 발생했던 증손자 창양(昌陽)의 죽음과 관련된 일련의 일이다. 물론 퇴계는 자신의 원칙론을 묵수한 결과로부터 빚어진 현실에 대해서 의연하게 대처했다. 하지만 그러한 이면에 담긴 처절한 심경의 토로를 죽은 증손자의 아버지였던 손자 안도(安道)에게 보냈던 편지글을 통해서 그 애절함을 통감할 수 있다.
    한편 퇴계는 학문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과 경계를 ‘경독(耕讀)’을 통해서 제시했다. 그는 도불(道佛)사상에 대해서 가졌던 자신의 기존의 편견과 한계를 일관되게 비판할 수 있는 윤리적 선택의 기준을 ‘경독’에 두었다.
    퇴계는 「고종기」에서 보여주었던 자신의 성찰에 대한 도덕적 ‘책임’의 의지를 반영했고, 이를 토대로 ‘노년의 공간’을 형성했다. 여기서 그가 마련한 노년의 공간이란 세대 간의 첨예한 갈등에 대해서 노년으로서의 유연한 역할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노년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 노년은 더 이상 뒤로 물러나서 관조하는 촌로가 아니다. 왜냐하면 그가 주목했던 진정한 노년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관건은 ‘설득’이 아니라, ‘소통’에 두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이러한 논지를 관철하기 위해서 다음에 주목했다. 첫째, 자연에 순응하는 것이고, 둘째, 끊임없는 성찰과 자기의 완성이며, 셋째, 자기의 본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이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the elderly are Toigye(退溪) has revisited the thorny conflict between academic stress and everyday life. And I found it attempts to integrate with the change based on the 'gabinilrok(甲寅日錄)' and 'kojonggi(考終記)'. Through this analysis, the Toigy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is academic position was reviewed in the 'gabinilrok(甲寅日錄)'. In addition, Toigye is also constantly emphasized the practical life and death, leaving one months, confirmed this in a vivid record of the 'kojonggi(考終記)'.
    Toigye is convinced that the discipline of their choice 'hakyijongshin(學以終身)' and had practiced it. But he did not change for the moral responsibility for the solitary life of a 'Alone(홀로있음)'. In particular, he was wary of solitude arising from a passion for introspection in his study as 'hakyijongshin(學以終身)' thoroughly. And through their own reflection was a chance to make a smooth 'space of the elderly'. But Toigye has continued conflict and conflict with family members who suffer in their daily lives.
    The Toigye offered a 'reading(耕讀)' as a concrete way and boundaries for the study. He has consistently criticized the prejudices and limitations on Taoism and Buddhism. And he placed the basis of these ethical 'choices' in the 'reading(耕讀)'.
    Ethical choices of Toigye created a 'space of the elderly' reflects the moral responsibility 'kojonggi(考終記)' containing a record month before the death of the Toigye. Means a flexible role of the elderly from the sharp conflict between the 'space of the elderly' is between the generations. To create 'space of the elderly' seniors are now back should no longer retreat. In order to ensure a genuine 'space of the elderly' rather than persuasion, communication is most important. Where he focused on three. First, to adapt to nature. Second, reflect and constantly perfecting itself. Third, to restore his true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