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80년대 초반(1980-1981) 한미관계 읽기 (Understanding ROK-U.S. Relations of the Early 1980s’(1980-1981))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3.11
28P 미리보기
1980년대 초반(1980-1981) 한미관계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국사연구 / 38권 / 191 ~ 218페이지
    · 저자명 : 장준갑, 김건

    초록

    한미관계에 있어서 항상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소는 한미군사동맹과 미국의 동아시아 안보확립, 소련, 중국, 북한의 견제 등 군사안보적인 측면이었다. 물론 양국 간의 경제적인 측면도 최근에는 한미관계를 결정하는 주요 변수로 고려된다. 그러나 1980년대 초반의 한미관계에서 이러한 상시적인 주요 변수 못지않게 크게 작용했던 요인이 한국 내의 반미감정의 증가였다. 전두환 신군부 세력의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무자비한 진압과 인권탄압, 그리고 반민주적 행태에 대하여 미국이 침묵하자 한국의 국민들은 그동안 미국에 대하여 품어왔던 우호적인 인식이 뭔가 오해였음을 깨닫기 시작했고, 미국의 진면목은 한국의 인권과 민주주의 향상을 지향하기보다는 자국과 한국 지배자들의 패권적 이해의 옹호였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미국은 이러한 반미 분위기가 한국에서의 대미 우호적인 정권의 유지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인식하고 반전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김대중 재판 사건에 개입하여 김대중의 사형을 중시시킴으로써 한국에서 인권과 민주주의를 옹호한다는 점을 국내외에 부각하여 반미여론을 잠재우려는 노력을 경주하였다. 그러나 미국은 당시에 전두환 세력에 의해 자행되었던 훨씬 더 심각하고 패륜적인 탄압과 반민주적 행위에 침묵하면서 전두환 정권을 지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반미정서를 되돌리려는 미국의 목표가 달성되었는지는 의문이다. 한국인들은 1980년 광주학살과 전두환이라는 이해할 수 없는 역사적 과정을 겪으면서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들을 외면하는 미국을 대면하게 되었다. 한국인들은 미국이 정말 우리의 동맹이자 친구인지 헷갈려 하면서 그 의미를 다시 되새기게 되었다. 1980년 초반의 한미관계는 1980년대 이후 한국인들 사이에서 점증하는 반미 감정을 고려한다면 그 어느 때보다도 위태롭고 불안한 형편에 놓여있었으며 그러한 현상을 불러온 상당한 원인은 미국이 인권과 민주주의 등에 대한 기본적 가치를 부정했던 전두환 정권과 밀월관계를 유지했다는 데 있었다.

    영어초록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establishing Korean-American relations must be Korean-American military alliances, security from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economic interests in East Asia. Except those factors, however, in early 1980s anti-American sentiment was a important variation which could hurt Korean-American relations in American judgement. Korean people who had kept friendly sentiment toward America since the Second World War was now changing their attitude because the United States supported anti-democratic and cruel South Korean government represented by Chun Doo Hwan.
    The United States, thinking that the anti-American sentiment in South Korea could hurt American interests in the region, decided to intervene Kim Darjung’s Trial to change the tide of the movement. Kim Daejung, one of important democratic leader of South Korea, might be a valuable card to the U.S. government. Kim was a valuable figure to American side because the United States decided to make use of Kim as a international issue. If the United States could persuade President Chun to grant amnesty for death penalty of Kim, the international public opinions and the feeling of South Koreans toward the United States would favorably be changed, and the Reagan Administration would have a good chance to solid military alliance with tyrannical South Korean government.
    Again in the early 1980s two nations lost chances to build more durable relations by enhancing high values such as human rights, democracy, and freedom. Instead they held tight their hands by strengthening military alliance and anti-communist policies, betraying wishes of most Koreans who wanted the United States to stop killing people and violations of human rights by Chun’s military group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