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팔레스타인 난민의 발생 배경 - 1947년을 중심으로 - (The Origins of Palestine Refugee Proble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8.02
24P 미리보기
팔레스타인 난민의 발생 배경 - 1947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중동학회논총 / 38권 / 3호 / 1 ~ 24페이지
    · 저자명 : 김은비

    초록

    2015년 파도에 밀려 떠내려 온 시리아 난민 어린이 쿠르디의 시신을 찍은 사진은 최근 국제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와 더불어 장기화 되어가고 있는시리아 내전과 이에 따른 난민 문제는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지속적으로 회자되고 있다. 그러나 70여 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이나 계속되고 있고 전쟁을 동반한 폭력적인 갈등까지 포함하고 있는 팔레스타인 난민에 대한 문제는 상대적으로 주목받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1948년 이스라엘의 건국을 전후하여 대량으로 발생한 팔레스타인 난민들은현재 전 세계 각지에 흩어져 영토와 주권을 보장받지 못한 채 고향 땅으로 돌아갈 것을 소망하며 긴 시간을 생존해 나가고 있다. UNRWA(United Nations Relief and Works Agency for Palestine Refugees in the Near East, 유엔난민구제사업국)의 자료에 의하면 2015년 1월 1일 현재 UNRWA에 등록된 팔레스타인 난민은 약 560만 명으로, 이들은 요르단이나 레바논 등 약 5개 지역에서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많은 수의 난민이 발생하게 된 책임이 어디에 있는가는 단정적으로 말하기 힘든 상황이다. 이에 대한 논의가 객관적인 사실에 기반하기보다는 감정/주관적이고 정치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진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스라엘(유대인) 측과 팔레스타인(아랍인) 측 중 누가 더 많은 공감내지는 동정을 받느냐에 따라 ‘가해자’가 결정되고, 이에 기반을 두어 팔레스타인 난민의 발생 원인과 책임, 그리고 그 해결책에 대한 논조가 다르게 설정되기도 한다. 2차 세계대전의 홀로코스트에 초점을 맞춘다면 1946년 전후의 서구사회가 그랬듯이 유대인들의 홈랜드(Home land) 건설에 대한 오랜 소망과 그들이 당한 핍박에 더욱 공감하여 그들이 정착할 수 있는 아주 작은 땅을 양보하지 못하는 팔레스타인 아랍인을 비판하기 쉽다. 그러나 오랜 기간 팔레스타인에서 대대로 살고 있다가 자신이 아닌 타인의 결정으로 순식간에 삶의 터전을잃게 된 아랍 개개인의 삶에 주목한다면, 자신의 이익을 위해 스스로의 상처를더 크게 드러내고 상대방 아랍인들의 어려움은 돌아보지 않는 유대인들의 이기심을 비난하게 될 것이다.
    역사학자들조차도 자신들의 주장에 부합하는 사례들을 취사선택하여 연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Caplan 2010), 단시간 내에 명확한 결론을 이끌어내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이스라엘의 ‘구’역사가(Old historian)들과 ‘신’역사가(New historian)들 간의 충돌이다. 과거 이스라엘의 공식또는 비공식 주장을 이끌어 온 ‘구’역사가들은(예를 들어 Kimche et al. 1960; Lorch 1968) 대부분의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이 ‘자발적으로’ 혹은 아랍 군 지휘관의 일시적 ‘소개 명령에 의해’ 떠났다고 주장하며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 난민 복귀 책임의 문제에 있어 자유롭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반면 ‘신’역사가들은 1980년대부터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관련 이스라엘 기밀문서들의 비밀이 해제됨에 따라 이들 자료와 축적된 구술 자료들을 바탕으로 이스라엘 군의 집단 학살과 과도한 무력 사용을 밝혀냈다. 이들은 아랍인들이 이스라엘 군에 의해 ‘강제로 소개’되었다며(Morris 2004) 팔레스타인 난민의 발생과 이들의 복귀 문제에 있어 유대인들의 책임론을 주장하고 있다(다테야마 료지 2002;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Romirowsky & Joffe 2013 참조).
    난민 발생의 원인과 그 책임에 대한 논쟁은 팔레스타인 난민들의 복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와 직결되는 것으로, 문제의 원인에 대한 진단이 문제의 해결을 위한 단초임을 고려했을 때 반드시 고찰되어야 할 문제이다. 특히 이논의에 있어 반드시 다루어져야 할 과제는 팔레스타인에 거주하였던 아랍인들이 ‘스스로’떠난 것인가, 아니면 강압에 의해 ‘소개’된 것인가이다. 위에서 소개한 신역사가와 구역사가의 논의에서 알 수 있듯이 난민의 발생 원인에 따라 그책임의 소재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As of 2015, there are 5.6 million Palestinian refugees across the world. seen in debates between Old historians and New historians, discussions on the causes behind the Palestinian refugee dilemma have lasted for several decades; however, conclusions have been biased based on emotional associations and ethnic affiliations. Moreover, most of these studies have considered the Arab-Israeli war in 1948 to be the originator of the refugee issue. However, in order to have a balanced understanding of the origin of this issue, one needs to focus on UN resolution 181, which was ratified in 1947, and the civil war that followed.
    The partition plan of resolution 181 was based on the premise of Palestinian Arabs leaving their homeland, and as a result provoked the civil war that led to a large number of refugees. According to the partition plan, people who had lived in the newly designated areas for other ethnic populations were required to relocate; and, as the ethnic villages were blended along the territory, it was not secure when people tried to cross through other territories. Therefore, efforts were made to claim other villages in order to make movement in the region more secure. This action led to civil war. However, the civil war exposed the disorganization of Palestinian authorities and forces which were not strong enough to protect their inhabitants. Palestinian Arabs did not have secure leadership, trained military, or weapons. Moreover, there was a lack of morale due to previous brutal operations by Jewish authorities. In particular, although there is controversy, one of the Israeli operation plans, Plan-Dalet, a military plan for controlling territory and evacuating Arabs in their territory, has been considered an ethnic cleansing plan by a group of scholars.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the plan, the fact is that Plan-D and following operations intimidated Arab populations to leave their home either voluntarily or forcefully.
    The Palestinian refugee problem has not been solved for more than 70 years, and refugees have yet to be granted their right to return their homeland.
    The responsibilities are not on only one side-Palestine Arabs or Israeli Jews-but, I argue, on all sides including international society. Therefore, the solution of the refugee problem should be discussed among the all responsible actors under the shared perception on the responsib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중동학회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