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40년대 이세진의 제주불교혁신운동 (Lee Se-jin's Reform Movement of Jeju Buddhism in the nineteen fortie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07.07
33P 미리보기
1940년대 이세진의 제주불교혁신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24호 / 311 ~ 343페이지
    · 저자명 : 한금실

    초록

    본 논문은 1940년대 전후 제주불교에 혁신운동의 바람을 일으켰던 이세진에 대한 연구이다. 이세진은 1910년 일본의 식민지가 되던 해에 태어나 1949년에 생을 마감하였는데, 그가 남긴 활동의 업적은 40년이란 짧은 생애에도 불구하고 근대 제주불교가 어떠한 모습으로 굴절되어 갔는지 매우 상징적으로 나타내주고 있어 근현대 제주불교를 고찰하는 데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사례가 되고 있다. 특히 그의 주요 업적 중 근대 제주불교에서 처음으로 시도한 濟州講院의 승가교육활동과, 서관음사에서 승려와 마을주민들이 합심하여 공동으로 추진했던 제주불교혁신운동 등은 제주불교사뿐만 아니라한국불교사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지니는 활동이었다.
    이러한 이세진의 혁신사상의 바탕에는 유년시절부터 출가 이후 그의 행적에서 지속적으로 확인되었던 근대 禪農불교사상이 자리 잡고 있었다. 이 선농불교는 일반 민중과 함께 생활 속의 불교를 지향하며 평등한 생산구조 속에서 노동을 통한 수행정신을 고취시켜 僧․俗이 함께 문제의 해법을 찾아나가는 불교개혁운동이었다. 이세진은 이 선농불교사상에 한국불교의 정신을 잇는 전통강원 교육을 연계시켜 한 사찰의 도량 안에서 승가교육기관인 강원과 생산체제의 틀을 갖춘 공장을 함께 설립운영함으로써 기존 불교계 내에서는 찾을 수 없는 매우 독특한 형태의 불교혁신운동을 보여주었던것이다.
    불교혁신운동의 실천장이었던 서관음사는 1949년 1월 도평리 집단학살사건 때 토벌대에 의해 전소되었으며, 뒤이어 7월 경찰에 의해 총살당한 이세진의 사망 소식이 알려지자 한 승려가 서관음사에모셨던 불상을 도평리 인근 땅속에 묻고 홀연히 떠났다고 한다. 이로써 이세진의 제주불교혁신운동은 1940년대 역사의 장벽 앞에 부딪혀 근현대 제주불교의 숱한 흔적들과 함께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이세진의 제주불교혁신운동에 대한 본 연구는 현 제주불교의 정체성, 한국불교사와의 시대적 영향과 충돌, 한국사회 변동기에 불교계의 구체적 동향을 밝히는 기초 자료로써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있다고 생각하며, 현재 실타래처럼 엉켜있는 제주불교의 제반 문제와 향후 방향을 결정할 실마리를제공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thesis tries to reveal the forgotten facts of Jeju history Through the life of a buddhist monk, named Lee Se-jin, who lived from 1910 to 1949 by considering not only the modern historical stream of Jeju buddhism connected with Jeju people’s lives but also the reform of Jeju buddhism intensely developed in the current of the times Lee Se-jin was born in the year of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and died in 1949.
    As his short 40-year life shows how the modern Jeju Buddhism was distorted, it must be a good example for studying Jeju Buddhism to light up his life. Of his significant achievements, the meaningful thing to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as well as that of Jeju buddhism is that he tried to educate buddhist monks in Jeju Gangwon(an educational institution of buddhism) for the first time. In the Seogwaneum temple, he led the reform of Jeju Buddhism that started in cooperation with monks and the residents.
    Lee Se-jin’s revolutionary thoughts were influenced by the modern Seonnong Buddhism which was continuously observed in his life from childhood up until he became a buddhist priest. The Seonnong Buddhism was a practical buddhism which aimed at taking part in the living of the masses. It was also a reform of buddhism that intended to find solutions of things in collaborated lives of monks and the masses by inspiring them with ascetic exercises through labor under the impartial productive structure. Lee related The Seonnong Buddhism with a traditional Gangwon which succeeds to the spirits of Korean Buddhism. That enabled him to found and operate a Gangwon,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a Gongjang, a productive system, within one temple together. This activity can be considered as quite unique type of the reform movement of buddhism that was unparalleled in the established buddhism world.
    The Seogwaneum temple, the practical space of the reform, was burned down by the punitive force in January, 1949 during the Dopyeong Massacre. In July, the temple was closed right after one monk buried the image of Buddha under the ground at the news that Lee was shot dead. Unfortunately, Lee’s reform was blocked by Jeju 4.3 Uprising and disappeared into history along with plenty of traces of Jeju Buddhism.
    As stated above, this paper tries to describe Lee’s movement frustrated by Jeju 4.3 Uprising. The study on the movement can be considered as a basic material clarifying the identify of the present Jeju Buddhism, the relationship of the movement with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and the concrete tendency of the revolutionary period of Kore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