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理事廳의 설치 과정(1905~1907년) (A Study on the Installation Process of Yisacheong(理事廳)(1905~1907))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12
52P 미리보기
理事廳의 설치 과정(1905~1907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16호 / 287 ~ 338페이지
    · 저자명 : 한지헌

    초록

    일본은 1905년 11월 한국의 보호권 확립을 공식화하기 위해 제2차 「한일협약」(을사늑약)을 체결한다. 이 조약의 제3조에는 한국에 둘 통치기관으로 통감부와 함께, 이사청의 위치와 이사관의 직권에 대해 규정해 놓았다. 곧 한국의 각 개항장과 기타 일본국 정부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땅에 이사관을 둔다는 것과, 이사관은 통감의 지휘 아래 종래 재한국 일본영사에 속한 일체의 직권을 집행하고 아울러 본 협약의 조관을 완전히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일체의 사무를 掌理한다는 것이었다. 이 글은 일본이 한국에 이사청을 설치하는 과정 속에서 제2차 「한일협약」 제3조의 내용을 어떻게 이행하여 그들의 정책 기조를 확립해 나갔는지 밝히는데 있다.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가 진전되는 가운데 한국에서의 통치기관에 대한 구상도 정립되어갔다. 곧 일본은 제2차 「한일협약」에서 통감과 함께 한국 지방에서 외교와 행정을 담당하는 통치기관으로 이사청을 규정했다. 이후 통감부 및 이사청 설치에 관한 「칙령」 제240호의 발포를 통해 한국에 대한 조치를 대내외적으로 선언 실시하여 일본의 정략을 확정지었다. 「칙령」 제240호의 발포는 첫째, 일시의 ‘辯法’에 그치는 것이면서도 둘째, 통감부와 이사청의 사무가 개시됨을 알렸다는 데 의미가 있다.
    다음으로 일본은 관제 제정을 통해 이사청의 직무 권한을 확정했다. 세 가지 관제안의 비교 검토를 통해, 점차 이사관의 직무 권한이 단순히 외교기관만이 아닌 보호국을 통치하는 행정기관의 모습을 갖추어 감을 알 수 있다. 관제가 마련되면서 이사청의 위치와 관할구역도 정해졌다. 초반에는 일본 영사관이 있던 지역에 이사청이 설치되어 통치가 한국 전역을 아울렀다. 이후 제대로 된 행정기관이 들어서 있지 않아 재한 일본인의 보호와 단속이 요청되고, 외국과의 사이에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지역에 이사청의 增置가 이루어졌다. 이사청 支廳은 한국 지방의 施政 改善을 위해 설치되었으며, 관찰부 소재지에 지청의 부이사관을 주재시켜 해당 지방의 한국 관헌을 지휘․감독하는 역할을 했다.
    한국의 지방외교관서인 감리서는 한국의 외교권 상실로 그 직권행사에 위기를 맞이한다. 감리서의 외국인 관할 업무가 이사청으로 인수인계되는데, 일차적으로는 감리서의 文簿가 이사청으로 인계되기 시작했다. 이후 감리서가 관할했던 외국인에 대한 家契․地契 발급과 地段拍賣 관련 그리고, 외국인 통행증인 護照 발급 업무를 이사청에서 관할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들은 이사청-감리서-의정부 사이의 갈등과 혼란 속에서 행해졌다. 이처럼 일본은 이사청을 설치하면서 제2차 「한일협약」의 제3조 규정을 하나하나 전개하여 한국 지방에 대한 통치체제의 기조를 확립해 나갔다.

    영어초록

    In an attempt to formalize the establishment of Korea’s custody, Japan concluded the second Japan-Korea Agreement(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concluded in 1905) in November, 1905. Article 3 of the Agreement stipulated the location of Yisacheong and the authority of Yisagwan(the prosecutor) as a ruling body deployed in Korea along with the Residency-General. It meant that Japan would deploy a Yisagwan at the Korean ports that opened and the places deemed to need one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at a Yisagwan would under the supervision of Resident-General execute the whole authority of Japanese Consul in Korea and manage all the affairs needed to fully implement the provisions of the Agreement.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how the ruling Japanese implemented Article 3 of the second Japan-Korea Agreement and established a basis for their policies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Yisacheong in Korea.
    As Japan was turning Korea into its protectorate, it established the conception of its ruling bodies in Korea. It prescribed Yisacheong as the agencies in charge of diplomacy and administration in local areas of Korea along with Resident-General in the second Japan-Korea Agreement. It then promulgated Imperial Order No. 240 on the installation of Residency-General and Yisacheong, thus declaring and implementing its actions on Korea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confirming its political scheme. Imperial Order No. 240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merely a temporary “revised law” and notified the beginning of operation of Residency-General and Yisacheong.
    Japan confirmed the official authority of Yisacheong by enacting control regulations.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ree different control plans,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Yisagwan gradually evolved into an administrative agency to rule the protectorate in addition to simple diplomatic business. Once the control regulations were established, the location and jurisdiction of Yisacheong were determined. The Yisacheong, which was originally established with the Japanese consul, was extended to cover all korea during the imperial japan. Later Yisacheongs were established more in areas where there was a need for protection and crackdown of Japanese people in Korea and for resolution of frequent problems with foreign nations due to the absence of right administrative agency. The branch offices of Yisacheong were set up to improve administration in local areas of Korea, and Buyisagwans(the assistant prosecutors) of the branch offices were deployed to the sites of provincial offices to direct and supervise the Korean authorities in the concerned areas.
    Gamriseo, the local diplomatic office of Korea, faced a crisis with the execution of its authority as Korea lost its diplomatic rights. Yisacheong took over Gamriseo’s job of controlling foreigners. The documents and books of Gamriseo was first transferred to Yisacheong, which later obtained control over the issue of house and land registry certificate to foreigners, local area auction, and the issue of Hojo, a foreigner’s pass, which Gamriseo used to take care of. Those processes proceeded in conflicts and confusion among Yisacheong, Gamriseo and Uijeongb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