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60년대 펄벅 수용과 미국 (American Symbol of 'Pearl Buck' in 1950's and 196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3.03
23P 미리보기
1950~60년대 펄벅 수용과 미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7권 / 1호 / 435 ~ 457페이지
    · 저자명 : 김윤경

    초록

    『대지』의 작가 펄벅은 미국과 아시아, 여성젠더의 중첩된 지점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독특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펄벅의 독특한 포지셔닝은 1950~60년대 한국사회에서 특별한 의미로 발견되었다. 1960년 펄벅의 첫 방한을 보도하는 언론들은, 아시아문제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교적인 동양문화의 가치를 긍정하고 가족주의와 모성을 높이 평가하는 그녀를 ‘자애로운 어머니’로 호명하고 있다. 이는 해방 전, 펄벅이 아시아 사회를 경험한 서구인(백인)으로서 신뢰할만한 아시아문제 전문가로 호명되던 방식과는 다른 것이었다. 30여 년이 지나는 동안 펄벅의 표상이 ‘백인’에서 ‘어머니’로 변화하게 된 데에는 1950년대 한국사회의 대미인식과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다.
    1950년대 한국은 미국의 절대적인 원조 하에 미국의 헤게모니 장 안에 속해 있었지만 국가형성기의 한국이 경험한 미국식 자유주의는 매혹과 공포를 동반한 위험한 가치이기도 하였다. 미군정 이후 한국사회에 만연해 있었던 ‘저급한 미국문화’라는 거부감, 원조자이자 상징적 가부장인 미국에 대한 민족적 굴욕감은 미국화를 받아들인 여성(자유부인․아프레걸․UN마담 등)에 대한 부정과 비난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펄벅’은 이러한 부정적인 미국의 이미지를 재고하는 데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즉, 미국을 ‘펄벅’이라는 어머니로 표상함으로써,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가부장이 아닌 자애로운 보살핌의 제공자로 새로운 이미지가 구성되었던 것이다. 노벨문학상 수상자이기도 한 펄벅은 그녀의 문학을 통해 한국을 국제사회에 소개하는 대변자로서의 역할도 요구받게 되는데, 이는 미국이라는 우방국을 통해 세계사의 변방에서 중심으로 이동하고자 한 한국사회의 욕망을 드러낸 것이라 하겠다. 또한 아시아 혼혈아들의 집인 웰컴하우스의 어머니 펄벅은, 국제사회의 망명자들을 끌어안고 이민자들을 받아들임으로써 가장 강력하고 통합적인 거대국가로 성장한 미국 그 자체를 상징한다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펄벅은 자애롭고 현명하고 합리적이고 교양 있는 어머니로 젠더화 된 미국표상이었고, 1950~60년대 한국사회의 대미인식을 긍정적으로 제고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참조되고 있었다.

    영어초록

    Pearl Buck, author of The Good Earth was unique in her overlapping position in America, Asia and feminine gender. This unique positioning for her was discovered as special meaning in Korea in 1950's and 1960's. Journalism reporting her first visit to Korea in 1960 described her as 'generous mother', who had special interests in Asia, respected Confucianism value of Asia, familism and motherhood. It was different from description on her, trustworthy specialist in Asia as westerner(caucasian) who had experiences in Asian society. Change of symbol on Pearl Buck from 'caucasian' to 'mother' for 30 years can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Korean view on America in 1950's.
    Korea in 1950's belonged under the American hegemony with its absolute aids. However, American liberalism experienced by Korea in times of its own forming nation was a dangerous value accompanying both charm and fear. Refusal to low American culture spread into Korean society since US Military Army Government in Korea and national humilation on US as aid and symbolic patriarch turned out refusal and blame for women with Americanization (Madam Freedom, Apres-Girl and UN Madam).
    However, Pearl Buck highly contributed to reconsideration on negative image of America. In other words, by expressing American as a mother called 'Pearl Buck', new image as offerer of generous offerer of care not abusive patriarch was born. Pearl Buck, a Novel laureate for Literature was required a role as spokesperson to introduce Korea into International society using her literatures and it was the desire of Korean society that wanted to move from the remote region of world history to the center through the allied nation, USA. Pearl Buck, mother of the Welcome House for Asian children of mixed blood can be seen to symbolize USA itself, which became the most powerful and integrated power by hugging international refugees and accepting immigrants. Accordingly, Pearl Buck was an American symbol which was gender as generous, wise, rational and cultured mother and referred positively for reconsideration of Korean view on America in 1950's and 196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