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58년 나선정벌 관련 기록의 서사지리 (Narrative Geography in the Records related to Russian Conquest in 1658)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06
42P 미리보기
1658년 나선정벌 관련 기록의 서사지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45호 / 165 ~ 206페이지
    · 저자명 : 이승수

    초록

    이 글은 1658년 나선정벌을 배경으로 하는 일련의 기록물을 텍스트로 삼아, 그 서사 공간의 인문지리학적 의의를 규명한 결과이다. 한국의 북방 공간은 엄연한 고대사의 현장이지만, 역사기록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이 지역에 대한 종래의 인식은 꿈이나 환상에 가까웠다. 나선정벌과 신유의 「북정록」은 오랜 세월 환상의 영역에 있던 북방을, 현실의 영역과 역사의 공간으로 되 돌이키는 역할을 하였다.
    1658년의 나선정벌은 여러 기록을 낳았고, 이 기록들은 북방의 지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하나의 사건을 두고 성격이 다른 여러 텍스트가 형성된 점을 고려하여 논의의 방향을 두 갈래로 잡았다. 하나는 사실 기록인 신유의 「北征錄」을 텍스트로 삼아, 당시 조선군의 이동 경로를 재구하고, 길 위에서 펼쳐진 전 과정에 내포된 서사적 의미를 탐색하는 작업이다. 그 결과 당시 조선군 이동의 전 구간을 통합적으로 재구하였고, 출발에서 귀환에 이르기까지 여러 사건들의 의미를 서사 단위별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다른 하나는, 소설 작품들을 함께 고려하여 상상의 북방 지리를 정리하는 일이다. 소설 속에서 북방의 자연지리는 강이 많고 물산이 풍부한 물의 나라였고, 중국 중심의 질서가 적용되는 또 다른 국제사회였다. 소설에서도 러시아는 매우 가공할 만한 존재로 묘사되었는데, 「북정록」이 자아내는 긴장감과 현실감은 크게 희석되었다. 이는 실제 러시아에 대한 이해가 별로 진척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러시아가 흥미 중심의 통속 영웅 서사 문법에 종속되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사실과 허구의 기록을 묶어 살피기 위해 ‘서사지리’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서사지리학은 이야기의 지리 배경에 대한 탐색으로, 역사의 현장과 소설의 공간을 포괄한다. 모든 사건은 지리 공간 위에서 펼쳐지고 이야기의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 사건에 대한 기억과 담론이 지리 공간의 깊이와 가치를 결정한다. 크게 보아 이 글은 한국학의 관점에서 북방지리학에 속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cords about the Russian Conquest in 1658 and identified the anthropo-geographic meaning of the narrative space. While the northern region of Korea was the important site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there is no historic record on it. Thus, the existing awareness on that region was like dream or fantasy. Russian conquest by Joseon and "Bukjeongrok(Defeat of Russian)" by Shin Yu changed the northern region which was perceived as fantasy world for a long time into the space of reality and history.
    A number of records was produced about Russian Conquest in 1658. Those records newly induced the interest on the geography in the northern region. Since a variety of texts was created for one event, Russian Conquest, this paper established two directions of discussion. One selected "Bukjeongrok" by Shin Yu, the true records, as the text. The route of Joseon army at that time was examined and the whole process deployed on that route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narrative meaning.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the whole movement route of Joseon army was extensively reconstructed and so the meaning of diverse events from departure to return to the main land was understood by narrative unit.
    The other approach summarized the geography in the northern region which was just the world in the imagination along with the fictions. The nature and geography in the northern region in fictions described the world with a number of rivers and abundant local products. In the fictions, the northern region was another international society which kept the order around China. The fictions described Russia as the very formidable existence. Tension and sense of reality created in "Bukjeongrok" were significantly reduced. It's because Russia was not properly recognized and thus, Russia was subject only to the general heroic and narrative grammar focusing on interest.
    This paper used the term "Narrative Geography" to investigate the records of facts and fictions. Narrative geography is the quest for geographic background of a story and embraces the historic sites and the space in fictions. All events are deployed in geographic space and constructed as a form of story. Memory and discourse on such events determine the depth and value of geographic space. In a broad sense, this paper was included in the northern geography on the aspect of Korean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