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40년, 부산의 식민성과 반식민성 (Colonialism, Decolonialism in 1940, Bus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12
51P 미리보기
1940년, 부산의 식민성과 반식민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68호 / 485 ~ 535페이지
    · 저자명 : 이재봉

    초록

    1940년 11월 23일 부산공설운동장에서는 제2회 전력증강국방경기대회가 개최된다. 이 대회에서 부당한 심판으로 일본계 학교인 부산중학교의 우승을 선언하자, 이에 반발한 조선계 학교인 동래중학교와 부산제2상업학교 학생들이 반발하여 여러 가지 구호를 외치고 당시 심판장이었던 ‘노다이 켄지(乃台謙治) 대좌’의 저택을 습격한다. 이 사건은 흔히 ‘노다이 사건’이라 불리고 있는데, 약 200여 명의 학생이 체포되고 15명이 형사처벌을 받았으며, 65명이 퇴학 또는 정학 처분을 받기에 이른다.
    이 사건은 이병주의 ≪관부연락선≫에 잠시 언급되어 있을 뿐, 국내에서는 이를 본격적으로 서사화한 작품은 없다. 그런 점에서 이이오 켄시(飯尾憲士)라는 일본인 작가가 쓴 <1940년 부산>이라는 작품은 특이하다. 그는 이 작품에서 카가야 타미오(可賀谷民夫)와 A라는 인물을 등장시켜 ‘노다이 사건’의 실상을 추적한다. 그들의 부산중학 동급생인 B라는 인물이 쓴 「독립운동을 목격」이라는 글에 의문을 품은 A는 여러 가지 정황을 찾아내고 실제 이 사건에 관여했던 사람들의 증언을 들어 ‘조선독립만세’ 등이 외쳐지지 않은 작은 소란일 뿐이었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이 논리를 강화하기 위하여 이이오 켄시는 역사적 사실을 나열하고 편지를 활용하며 논픽션 노벨이라는 장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 결과 당시의 부산은 그들의 중학 시절 추억과 낭만이 서린 아름다운 식민 공간일 뿐이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태도는 1990년대 이후 일본의 이른바 역사 수정주의에 기대는 것이었고, ‘기억’을 의도적으로 축소/삭제 또는 과잉 해석하여 ‘기억을 암살’하는 것이기도 했다.
    특정한 역사적 사실은 한두 마디로 그 성격이 규정되지 않는다. 실제로 전력증강 국방경기대회라는 형식 자체가 전쟁을 수행하는 제국과 식민의 논리로 가득 찬 것이었고 여기에 참가한 학생들 역시 이런 논리에 노출되어 그것을 알게 모르게 내면화할 위험도 배제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부당한 심판에서 비롯된 학생들의 항의와 가두 행진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사건을 전개 시켰고, 이 과정에서 외친 학생들의 구호는 모순되고 양가성을 지닌 복합적인 것이었다. 나아가 제국의 논리에 무비판적인 구호를 외치기도 했지만, 천황을 모욕하고 기미가요를 훼손하였고, 이 과정에서 증폭된 감정은 결국 당시로서는 가장 위험하고 급진적이라 할 수 있는 ‘조선독립만세’까지 외치게 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1940년 11월 23일 일어난 이른바 ‘노다이 사건’은 제국과 식민의 모순이 만들어낸 극적인 사건이었다. 그래서 이날의 부산은 억압된 감정과 분노를 풀어내는 한바탕 축제의 장이었고 식민과 반식민이 공존하는, 모순되고 양가성을 띤 구호들이 난무하는 격정과 혼란의 해방공간이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Second National Defense Tournament was held at Busan Public Stadium in Nov. 23, 1940. Busan High school, which was Japanese School, won the championship in this tournament by an unfair judgement, and it made the students from Joseon School―Dongrae High school and Busan Commercial High schoolⅡ―furious. The furious students reacted against this result, and attacked Colonel Nodai, Kenzi’s mansion shouting some slogans. Almost 200 students were arrested, 15 received criminal penalty, and 65 were expelled or suspended from school for so-called ‘Nodai incident’,Lee, Byeong-ju mentioned this incident shortly in Gwanbu yeollakseon(Gwanbu Ferry), and no other works in Korea described it. In this point of view, 1940, Busan written by Japanese writer, Iio, Kensi is worth of notice. Iio traced the truth of ‘Nodai Incident’ by presenting Kagaya and character A. A had his doubt about Witness the Independence Movement written by B, his Busan High School Classmate. He looked for several circumstantial evidences and collected testimonies of people who were concerned in this incidence, and then concluded that it was just a small noise even without shouting ‘Joseon Dongnip Manse(Hurray the independence of Joseon)’. Iio made best use of the feature of non-fiction novel by enumerating historical facts and using letters to strengthen his logic. As a result, Busan, of the time, was just a beautiful colonial space that was filled with memory and romance of their school days. This kind of attitude is not different from Japan’s so-called Historical Revisionism after 1990’s; It can be said to be ‘assassinating the memory’ by reducing/ deleting or over-interpreting the ‘memory’ on purpose.
    A historical fact cannot be defined by few words. There was another possibility that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National Defense Tournament were to be exposed to imperialism and colonialism and to internalize it without realizing because the tournament itself was full of the logic of imperialism and colonialism of war. The protest and the protest marches of the students started from an unfair judgement developed the incident to unexpected direction, and the slogan that students shouted was a complex one which was full of contradiction and ambivalence. They sometimes shouted uncritical slogan against the logic of empire, but they also insulted the emperor of Japan and damaged Kimigayo. Amplified feelings during this made students shout ‘Joseon Dongnip Manse (Hurray the Independence of Joseon)’ that can be said to be the most dangerous and radical action at that time. Considering this point of view, ‘Nodai incident’ which was happened in Nov. 23, 1940 was a dramatic incident that the contradiction between imperialism and colonialism drove. Busan on that day was a place of festival where people expressed their suppressed feelings and rage on one hand, and also was a place of liberation with passion and disorder where colonialism and decolonialism coexist and was filled with contradictory and ambivalent slogans on the other h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