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11년 상속세 및 증여세법 판례회고 (Review of 2011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Law Cas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2.05
47P 미리보기
2011년 상속세 및 증여세법 판례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세법연구 / 18권 / 1호 / 478 ~ 524페이지
    · 저자명 : 박훈, 허원

    초록

    이 글에서는 9건의 2011년도 상속세, 증여세 관련 대법원 판례를 선고순서에 따라 사실관계, 쟁점, 판결요지, 평석의 순으로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 중 판례공보에 실린 8건은 주요쟁점에서 대법원의 입장을 최초입장으로 밝히고 있다. 대법원 종합법률정보서비스에는 실렸으나 판례공보에는 실리지 않은 1건(2010두24104 판결)은 명의신탁 증여의제 판단시 사소한 조세차질기준을 적용한 종전 대법원 입장(2004두7733 판결 등)을 확인하고 있다.
    9건 중 4건(2010두24104 판결, 2009두21352 판결, 2007두17175 판결, 2011두8765 판결)은 명의신탁 증여의제에 관한 것이다. 2010두24104 판결은 사소한 조세차질을 인정한 것으로 이 경우 명의신탁을 통해 회피된 세액을 명의신탁 증여의제로 부담하게 되는 증여세액과 비교해 볼 때 그 비율이 0.30%에 불과했다. 대법원이 사소한 조세차질기준을 계속해서 채택하면서도 그 기준은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는 있지만, 명의신탁 증여의제규정이 지나치게 확대되는 것을 제한하였다는 점에서는 판례의 입장이 타당하다. 다만, 근본적으로 명의신탁을 통한 세정의 혼란을 증여세라는 부의 무상이전에 대한 세목으로 제재를 가하는 명의신탁 증여의제규정 자체의 존폐는 따로 논해 볼 일이다.
    2009두21352 판결은 이익잉여금의 자본전입시 무상주에 대해 명의신탁 증여의제규정 적용을 부정한 것으로서, 자본잉여금의 자본전입시 무상주에 대해 명의신탁 증여의제규정 적용을 인정하지 않았던 종전 판례(2007두1361 판결 등)와 유사성이 있다. 이 판례는 명의신탁 증여의제규정이 적용되는 경우를 제한한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나, 자본잉여금과 이익잉여금의 과세상 차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재검토가 필요하다.
    대법원 판결 이후에도 행정불복단계에서는 대법원 입장과는 달리 명의신탁 증여의제규정 적용을 긍정하고 있다. 2007두17175 판결은 자기주식 거래를 원칙적으로 금지한 구 상법을 위반하여 당연무효인 경우에도 이 주식과 관련하여 명의신탁 증여의제규정 적용을 긍정하였다. 재산의 실제 소유자와 명의자가 달라지는 데 대한 제재라는 측면에서는 의미가 있지만, 사법상 효력이 전혀 없는데 과세가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에서는 비판이 가능하다.
    2011두8765 판결은 일정기간 내 증여재산 반환시 증여세가 비과세되는 경우처럼 명의신탁 해지시에도 이를 인정한 것이다. 명의신탁 증여의제규정이 적용되는 경우를 제한하는 해석이라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나, 당연무효인 경우와는 달리 계약은 해지되었더라도 명문의 규정이 없는 한 명의신탁했다는 것에 대해 제재로서 명의신탁 증여의제규정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위 판례는 재검토가 필요하다.
    2009두1617 판결은 저가양수 증여의제규정 적용시 회사 임원인 “양도인”과 그 회사의 최대주주가 아버지이고 자신은 주주가 아닌 “양수인” 사이에 특수관계가 있는지가 다투어진 것으로,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19조 제2항 제2호의 “사용인”을 해석할 때 “A와 B”로 구조가 되어 있는 것을 “B”만으로 해석할 수 없다고 보아 특수관계자의 범위를 좁게 해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2008두6813 판결은 결손금이 있는 법인의 범위에 이월결손금 없이 증여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결손금만이 있는 법인도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1조 제1항의 적용범위를 넓히기는 했지만, 이것이 법문언의 해석을 지나치게 넓힌 것이라 평가하기는 어렵다.
    2003년 12월 상속세 및 증여세법이 증여세포괄주의규정을 도입한 이후, 다양한 부의 무상이전 형태에 대해 현행 법 규정으로 과세를 할 수 있는지가 논란이 되는 경우가 실무상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2008두17882 판결은 법령에 명확한 근거규정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주식 우선매수청구권과 관련한 부의 무상이전에 대해 증여세를 과세할 수 있음을 인정하였다. 이 판결이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2조 제3항만으로 과세근거가 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는 경우에는 향후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33조부터 제42조까지에 해당하는지가 논란이 되는 증여 형태에도 제2조 제3항만으로 과세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다만, 납세자의 예측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증여 형태에 대해 입법적으로 보완은 계속 필요하다.
    한편 2011두22075 판결은 두 회사 사이에 체결된 주식의 포괄적 교환계약에 따라, 한 회사의 주주가 그 회사 발행주식을 다른 회사에 이전하고 그 다른 회사의 더 높은 가액의 주식을 받은 경우 특수관계에 있지 않은 주주와 다른 회사 간 고가양도에 대해 증여세 과세가 되는지와 관련하여, ‘거래의 관행상 정당한 사유가 없다’는 점에 과세관청이 입증책임을 지움으로써 특수관계가 없는 자간 증여세 과세가 되는 경우를 사실상 제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크다.
    2008두4275 판결은 상속재산 가액에서 차감되는 채무에 법령에 열거되지 않은 피상속인의 국외채무를 제외하고 있다. 이는 상속세의 경우 이중과세를 해결하기 위한 입법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지만, 현행법의 해석으로는 법원의 판단이 타당하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details of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related to 9 cases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in 2011 in terms of fact findings, issues, decision summary and annotation in order of decision made. 8 cases out of these published in the Precedent Gazette showed position of the Supreme Court in major issues first time. The last case (2010DU24104 Decision) which was published in the General Law Information Service of the Supreme Court but not published in the Precedent Gazette confirms previous position (2004DU7733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which applied a minor taxation problem standard when it judged the fictitious donation of registered property under a third party’s name(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DRP”).
    4 cases (2010DU24104 Decision, 2009DU21352 Decision, 2007DU17175 Decision, and 2011DU8765 Decision) out of these 9 cases are for the FDRP. The decision of 2010DU24104 acknowledged the minor taxation problem where the tax amount evaded through the nominal trust was only 0.30% of the gift tax amount which was charged by the FDRP. The position of the precedents is reasonable in that it limited undue expansion of the regulation of the FDRP though the Supreme Court didn’t present the standard of the minor taxation problem clearly while it continuously introduced standard of the minor taxation problem. However, the issue of whether to maintain or abolish the regulation of the FDRP which applies legal limitation on the taxation disorder through the nominal trust with a taxation title of gift tax, no charge on the wealth shall be discussed independently.
    The decision of 2009DU21352 denied the application of the regulation of the FDRP for bonus stock when earned surplus was transferred to the capital which has a similarity to previous precedents (2007DU1361 Decision etc) which didn’t acknowledge the application of the regulation of the FDRP for bonus stock when capital surplus was transferred to the capital. This precedent is positive in that it limits application of the regulation of the FDRP but needs to be reviewed when seen with viewpoint of the difference in tax between capital surplus and earned surplus. Even after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the application of the regulation of the FDRP is acknowledged positively unlike position of the Supreme Court in the stage of Administration Appeal. The decision of 2007DU17175 acknowledged the application of regulation of the FDRP in relation to these bonus stock even when it should be naturally invalid by breaching the old Commercial Law which prohibited the transaction of treasury stock in principle. This decision may have significance in aspect that it applies legal limitation on the fact that actual owner of the property and the named owner of the property are different each other, but could be criticized in that it may result in the taxation which has no legal effectiveness at all. The decision of 2011DU8765 acknowledged the tax exempt when the nominal trust is cancelled just like the case that the gift tax shall be exempted when the donated property is returned within a certain period. This is positive in that it limits the case of application of regulation of the FDRP but needs to be reviewed in that the regulation of the FDRP should be applied as a legal limitation on the nominal trust even when the contract is cancelled unlike the case of natural invalidity unless otherwise a specified regulation exists.
    The decision of 2009DU1617 is the case where they argued whether or not a special relation exists between the “transferor” who is a director of the company and the “transferee” who is not the shareholder but its father is the largest shareholder of the company when apply the regulation of the deemed gift at the lower price transfer, and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nterpreted the scope of the affiliate person narrowly by judging that they shouldn’t interpret the structure consisting “A and B” by only “B” when they interpret the “employee” of article 19.2.2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The decision of 2008DU6813 might extended the application scope of article 41.1 of old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in that the corporation which has only deficit of the business year where the gift date belongs without any deficit carried over from the previous term was include in the scope of the corporation which has a deficit, but it is difficult to assess that this decision extended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clause excessively.
    Argues whether the current law is entitled to impose a tax on various free transfers of wealth are frequently raised since the regulation of comprehensive taxation regime has been introduced by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in December 2003. Under this situation, the decision of 2008DU17882, though not so clear in the law, acknowledged that the gift tax could be imposed on free transfer of wealth in relation to the preemption of stock. When this decision is interpreted that the taxation ground could be made with only article2.3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the form of gift which is under controversy whether it falls into article 33 to 42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may have significance in that it could be taxed under article 2.3 only. However, it needs to supplement the law legislatively for the new form of gift in order to raise the predictability of the tax payer. In other hand, the decision of 2011DU22075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ctually limited the case of taxation of the gift tax between persons who have no special relation each other by holding the tax authority responsible for verifying the fact that ‘there is no justifiable reason in view of transaction practice’ in relation to the case that whether imposing the gift tax on the higher price transfer between the shareholder who is not an affiliate person and other company, and the shareholder received higher priced stock of the other company by transferring stocks of its company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share exchange agreement entered into the two companies is valid or not.
    The decision of 2008DU4275 excludes debt abroad of the ancestor not listed in the law for the debt which is deducted from the amount of inherited property. This could be an example which shows the necessity of legislation to solve the double taxation for inheritance tax, but the judgment of the Court is reasonable according to interpretation under the current law in for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세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