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서 대중화운동의 역사적 전개 과정 검토 -1970년대 고전읽기운동과 1980년대 독서생활화운동까지- (A Review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Reading Popularizat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2.06
33P 미리보기
독서 대중화운동의 역사적 전개 과정 검토 -1970년대 고전읽기운동과 1980년대 독서생활화운동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서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서연구 / 27호 / 9 ~ 41페이지
    · 저자명 : 김혜정

    초록

    본고는 근대계몽기부터 1950년대 해방 직후까지, 또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독서 대중화의 전개 양상을 시기별로 살펴보았다. 독서 대중화를사대부 양반 계급을 중심으로 이뤄졌던 고급 문화로서의 독서가 일반 민중들에게까지 파급되어 하나의 취미이자 일상적 서민 문화로 재탄생되는 현상으로 본다면, 이러한 독서 대중화 현상은 조선 후기 산문 정신으로부터 출발했으며 근대계몽기, 일제강점기와 해방을 거치면서 급격히 형성된다. 이시기 독서 대중화는 엄밀한 의미에서 독서가 대중화 되는 문화 현상이라기보다는 문자 보급 및 계몽 운동의 수단으로서 독서가 저변화 될 것을 강요받은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신문이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근대적 출판 시장이 성장하면서 독서 대중화를 뒷받침하고 있었다. 이후 1963년의 교양교육협회가 발족하고, 범국민적 고전읽기운동의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이러한 운동은 1975년 이후까지 유지되었으며, 이 당시를 살아왔던 사람들에게 ‘고전 독서’에 대한 확실한 각인을 새기는 계기가 되었다. 학생들은동서양 고전 중심의 책을 주요 ‘교양’ 독서물로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이와함께 휴대가 쉽고 가격도 저렴한 문고판 서적들이 대중들에게 급속도로유행했다. 1980년대에 들어서는 대중 매체를 활용한 캠페인 형태의 독서붐이 일어났다. 도서 광고가 본격적으로 이뤄졌으며, 대형 서점들이 독자적으로 베스트셀러 순위를 내면서 독자들을 책읽기로 끌어오게 되었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전 국민적 독서운동들이 두터운 독자층을 형성하게 된계기를 마련하였고, 이를 동력으로 하여 1980년대부터 대중문화가 뿌리내렸고, 독서 대중화도 이때부터 본격화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how reading culture has been spread toward the popularization of reading as cultural phenomenon. “Reading a book” is a high culture which the privileged class enjoys under the Neo-Confucianism. But it become popular gradually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Due to the creation of Hangeul[the Korean alphabet] and the first ancient Korean novel, the people(the rabble) can read a book.
    Then Banggak version-novels are prevalent, in 1890s. In the era under the colonial administration, readings go along with literacy-education. Then novels label novels(ttakji-version novels) are prevalent in 1910s-1920s. And in according to modern schools come up and modern libraries are equipped, the intellectual students as educated person emerged into real reader. From 1910s to 1950s, students became important readers, because having a literacy is essential for reader. From 1960s to 1970s, reading popularization exchanges into a national movement. the people must read something in order to be cultured. Almost students from elementary school to college engagement in the national reading competition or national reading contest for president-cup. So the people raise the refinement through reading. Then there were in trend of reading the classic book, as the Great books in USA. From 1980s to 1990s, the characteristic of reading popularization exchanges into a popular campaign. As a result of speedy industrialization, popular reader emerged and reading had aspects of consumption.
    individual readers begin to select a book fre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