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大衆歌謠에 나타난 性別 對象語의 變化에 대한 硏究 -1960년대, 2000년대 前半期 가요를 中心으로- (A Study of Changes of Gender Objective Words in the 1960s' and the early 2000s' Popular Music)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2.06
26P 미리보기
大衆歌謠에 나타난 性別 對象語의 變化에 대한 硏究 -1960년대, 2000년대 前半期 가요를 中心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40권 / 2호 / 7 ~ 32페이지
    · 저자명 : 양명희

    초록

    本稿는 1960년대의 人氣歌謠와 2000년대 前半期의 人氣歌謠를 對象으로 남성어와 여성어를 收集하여 이를 指稱語와 表現語로 구분한 후 관찰된 변화의 양상을 男女의 地位 및 關係 變化와 관련하여 解釋한 연구이다.
    1960년대 大衆歌謠의 성별 언어는 그 差異가 두드러지며 指稱語의 사용, 表現語의 사용을 통해 남녀의 지위가 同等하지 않고, 남녀 관계에서 여성이 남성에 從屬的이고 受動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2000년대 전반기 대중가요는 1960년대에 비해 성별 언어의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고 指稱語 사용을 통해 남녀의 지위가 同等하게 變化되었으며, 表現語의 사용을 통해 남녀 性役割의 變化와 男女 關係를 主導하는 여성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여성의 外貌 表現語와 否定的인 女性 性品 表現語가 남성어보다 많이 나타나며 여성을 所有物로 생각하는 노래 가사가 사용되고 있어 남녀에 대한 차별적 태도가 殘存함을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lects in the 1960s' and the early 2000s' popular music, and the changes they went through, according to reference terms and descriptive expression.
    In the 1960s' popular music, genderlects are quite distinct according to gender, showing sexual inequality in social status, and the passivity and dependence of wom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On the other hand, popular music in the early 2000s' refer to men as 'neo(you)' in the same manner as to women, revealing change to gender equality. Also, the boundaries between male and female gender roles are becoming blurred as men do cooking and shopping like women do. Furthermore, descriptive expression about women's work and behavior, display changes in women, leading man-and-woman relationships and having more active attitudes in their own lives.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lies in that it approached to the practical aspect of genderlects by analyzing words in popular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