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1980년대의 제주도 관광 시선 분석: 장리석 회화와 제주 관광 안내서 속 해녀 이미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Tourist Gaze on Jeju Island between the 1950s and the 1980s: Focused on Chang Ree-souk’s Paintings and Haenyeo Images from Jeju Tourist Guidebook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3.12
34P 미리보기
1950년대~1980년대의 제주도 관광 시선 분석: 장리석 회화와 제주 관광 안내서 속 해녀 이미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문화 / 43호 / 153 ~ 186페이지
    · 저자명 : 송준영

    초록

    본 논문은 장리석의 회화와 제주도 관광 안내서에 실린 해녀 이미지를 비교.분석하고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형성된 제주도의 관광 시선을 분석하여 근현대 제주도라는 물리적 장소가 수행성을 지닌 장소로 인식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제주도는 20세기 들어 인식적 공간이 급변한 곳이라 할 수 있는데, 제주도의 경제 사회와 더불어 제주도를 표상하는 이미지가 급격하게 변화하게 된 원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관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식민주의의 관광 시선으로 형성된 조선 향토색을 살펴보고 그 도상의 형식적 관성이 어떻게 남았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한국의 대표적인 근현대 서양화가였던 장리석(1916~ 2019)의 작품에 나타난 해녀 이미지를 분석하여 개인의 훈련으로 형성된 도상이 제주도라는 장소를 어떻게 개념화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1950년 후반부터 제작된 제주도 관광 안내서에서 해녀 이미지가 제주도 관광에 어떻게 소비되었는지 보고자 한다.
    두 가지 매체가 동일한 소재를 어떻게 표현하였는지 분석함으로써 근현대 한국에서 관성적으로 남아 있는 타자화된 식민주의적 관광 시선이 ‘이국적인 풍경’으로 만들어야 했던 제주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 보고, 이러한 시선이 작동한 제주도가 어떤 인식적 지리로 변해갔는지를 논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Jeju Island has been perceived as a place with performativity from merely a physical place in the modern times, by comparative analysis of Chang Ree-souk’s paintings and Haenyeo images from Jeju tourist guidebooks and analyzing the tourist gaze on Jeju Island between the 1950s and the 1980s.
    It is said that Jeju Island is one of the areas whose cognitive space rapidly changed in the Korean of the 20th century, further resulting in great change in its symbolic images. One of the typical causes for such a rapid change would be tourism in addition to the economy of Jeju Island. In this light, this study examines the Joseon local color created by the tourist gaze of colonialism form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nd looks into how much of the formal inertia of the icons remains in Jeju Island at present. As one typical case, this study analyzes Haenyeo images from the painting of Chang Ree-souk (1916- 2019), a Korean representative modern and contemporary artist of Western painting, and examines how this icon, which is usually formed through individual training, has conceptualized Jeju Island. Then, this study intends to look into how Haenyeo images, designed for Jeju Island tourist guidebooks since the late 1950s, are consumed by the tourists to Jeju Island.
    While analyzing how these two media have expressed the same materials, this study finds how the otherized colonial tourist gaze, which remains in Korea in modern times, has affected Jeju Island that needed to create and own its exotic scenery. At this poi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kind of cognitive place Jeju Island has become under the influence of such a gaz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