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TV흑백광고 경향 연구 - 2000년 1월부터 ~ 2015년 10월까지 국내 공중파 TV흑백광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cent Trend of Black & White TV Advertising - Based on Black and White Advertisements of Domestic Public TV Channels from January, 2000 to October, 2015 -)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5.12
16P 미리보기
TV흑백광고 경향 연구 - 2000년 1월부터 ~ 2015년 10월까지 국내 공중파 TV흑백광고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정보디자인학연구 / 18권 / 2호 / 129 ~ 144페이지
    · 저자명 : 백주연

    초록

    이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약 16년간의 공중파 TV흑백광고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흑백광고의 범위에 모노톤광고와 부분 컬러강조를 사용한 광고를 포함시켰다. 이 연구의 광고 데이터들은 www.tvcf.co.kr에 탑재 되어있는 공중파 TV흑백광고들을 사용하였고, 제품군의 분류는 www.tvcf.co.kr와 광고정보센터의 분류를 참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16년간의 공중파 TV흑백광고의 연도별, 제품군별 광고량과 광고비율의 현황을 파악하였고 둘째, 연도별, 제품별 분류를 바탕으로 기업별 흑백광고의 광고량의 순위를 측정하고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셋째, 세부적으로는, 선정된 제품군별 기업 순위 1위~3위의 공중파 TV흑백광고의 광고량, 표현유형 그리고 기업 및 사회변화와의 상관관계를 밝혔다.
    또한, 약 16년간의 공중파 TV 흑백광고의 경향 분석의 이론적 뒷받침을 위해, 광고매체로서 공중파 TV가 높은 광고효과와 높은 주목률 등이 있음을 한국방송공사의 ‘2014년 소비자행태조사’(MCR: Media & Consumer Research)의 결과로 검증하였고, 문헌연구를 통해 디지털멀티미디어-스마트시대의 소비문화트랜드의 변화와 소비패턴의 변화, 컬러과잉(color excess), 컬러의 자의성(arbitrariness), 컬러의 상징성(symbolism), 흑백광고와 브랜드와의 관계, 흑백광고와 경기침체와의 상관관계 그리고 흑백광고와 소비자 인지욕구의 상관관계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요약하면, 이 연구를 통해 지난 16년간의 공중파 TV흑백광고의 경향 분석은 기업인식의 제고, 기업정신 표출, 제품의 브랜드인지 및 브랜드각인 등을 위해 흑백광고소구를 사용해 왔으며, 사람, 사랑, 새로움, 고급스러움, 세련된 디자인, 품위, 과거의 기억, 역사적 사실의 재현, 미래의 비전 제시, 아름다움의 강조 등의 표현유형을 통해, 시대적 감성소구를 이용하여 소비자를 설득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following study has analyzed current trends of black and white advertisements of public TV channels for the duration of 16 years, starting from January 2000 and ending on October 2015. Monotone advertising and Color-spot advertising has been included in the range of black and white advertisements. Black and white advertisements of public TV channels offered at www.tvcf.co.kr and the Advertising Information Center has been used as advertising data for the study, and the same sources were used as references for the categorization of product families. In this study, firstly, current situation of yearly black and white advertising on public TV channels for the last 16 years, and advertising volume and rates depending on product families were identified. Secondly, corporation rankings of black and white advertisement volume, categorized according to year and product, were measured and characteristics of them were analyzed. Thirdly, the correlation between advertising volume and expression type of black and white advertisements of public TV channels which had been ranked from 1st to 3rd, among selected product families, and changes in corporation and society were revealed.
    In addition, for theoretical support of analyzing recent trends of black and white advertisements of public TV channels for 16 years, we have verified the high advertising effectiveness and attention rate of public TV as means of advertisement, through the results of the‘2014 Media & Consumer Study’ conducted by the Korean Broadcasting System. We have also conducted study through literature, and have determined, (i) the changes of consuming culture trends in the digital media-smart era and changes in consuming patterns, (ii) color excess, arbitrariness and symbolism, (iii) relationship between black and white advertisements and brand, (iv) correlation between black and white advertisements and economic recession, and (v) correlation between black and white advertisements and consumer cognitive needs. To sum up, through analyzing the trend of black and white advertisement of public TV channel for the last 16 years, we have discovered that black and white advertisement appeal has been used for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image, display of entrepreneurship, recognition of brand and brand products, as well as persuading consumers through emotional appeal by use of various expression types such as humanity, love, novelty, exclusivity, sophisticated design, dignity, memories of the past,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facts, presentation of future vision, and emphasis of beau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보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