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과 중국 여성의 스트리트 패션 컬러트렌드 비교분석-2011년~2012년 S/S시즌 서울과 다롄을 중심으로- (An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lor Trend of Women’s Street Fashion -Focused on Between Seoul and Dalian on 2011∼2012 S/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3.06
12P 미리보기
한국과 중국 여성의 스트리트 패션 컬러트렌드 비교분석-2011년~2012년 S/S시즌 서울과 다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9권 / 2호 / 294 ~ 305페이지
    · 저자명 : 오현아, 배수정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패션 수도인 서울 지역과 중국 동북 최대의 패션시장을 가지고 있는 다롄 지역의2011, 2012년 여름의 스트리트 패션을 대상으로 한국과 중국 20-30대 여성의 의복 색채를 비교ㆍ분석함으로써 한국 패션브랜드의 중국 내수시장의 성공적 진입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함께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는데, 실증적 연구에서는 서울과 다롄 지역의 중요 패션거리에서2011- 2012년 S/S 시즌 현지 촬영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결과 판독이 용이한 20~30대 성인 여성의사진 자료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2011년에는 도시별300점씩 총 600점, 2012년에는 500점씩 총 1000점을선정하였고, 본 연구자를 포함한 5인의 패션전문가의검토를 거쳐 의복 아이템 색채 분석을 실시하였다.
    2011년 S/S 시즌과 2012년 S/S 시즌 한⋅중 스트리트 패션 컬러트렌드를 비교ㆍ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의의 경우, 두 지역 여성들은 유채색보다 무채색을 주로 선택하여 착용하였고, 그 중에서도 White의선호도는 매우 높았다. 하의의 경우, 두 지역 모두에서PB계열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볼 수 있었다. 이는 실용성을 강조한 청바지의 높은 착용률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원피스의 경우, 두 지역 모두에서 2011년,2012년 지속적으로 Multi계열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보였다. 이는 원피스에 사용된 다양한 문양 때문으로분석된다. 액세서리 중 가방의 경우는 2011년도와2012년도에 서울 지역 여성들은 Black과 Mulit를 높은빈도로 선호한 반면, 다롄 지역 여성들은 Mulit와Black 순으로 선호하였다. 신발의 경우, 서울은 Black,다롄은 White로 2011년, 2012년 일관된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가방과는 다르게 일관된 트렌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 의복 색채 분석 결과, 서울 지역여성들은 2011년과 2012년 모두 Black이 높은 빈도를보였고, 다롄 지역 여성들은 2011년은 White, 2012년Multi의 빈도가 높았다는 점에서 두 지역 간의 선호의복 색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의복색채 코디네이션에 있어 서울과 다롄 여성들은 2011년, 2012년 모두 유채색과 무채색의 조화를 상당히 선호하고 있었다. 이러한 색채 분석 결과를 기초 자료로활용한다면 앞으로의 중국 진출 한국 브랜드들의 패션디자인 기획시에 지역별, 시즌별로 차별화된 제품 개발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basic informations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fashion brands in the Chinese fashion marke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wenties and thirties women’s clothing colors in summer street fashion in Seoul, Korea’s fashion capital, and Dalian, the largest fashion market in the northeast of China in 2011 and 2012. The research methods included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The empirical research used photos taken in main fashion streets in Seoul and Dalian during summer in 2011 and 2012. Legible photos of twenties and thirties women were randomly sampled. 600 photos were selected in 2011 with 300 in each city and 1,000 photos were chosen in 2012 with 500 in each city. 5 fashion professionals including this researcher reviewed and analyzed clothing item colors.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street fashion color trends in Korea and China in 2011 and 2012 S/S season were as follows. For upper garments, both cities’ women preferred achromatic colors to chromatic colors. In particular, white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lower garments, both cities showed high preference for PB colors.
    The result may be caused by high percentage of wearing jeans which emphasized utility. For a one-piece dress, both cities showed high preference for multi colors in 2011 and 2012. It may result from various patterns used for one-piece dresses.
    For a bag of accessories, while Seoul women highly preferred black and multi colors in 2011 and 2012, Dalian women preferred multi colors most, followed by black. For shoes, the most preferred color was black in Seoul and white in Dalian in 2011 and 2012, suggesting a consistent trend unlike a bag. For the analysis of clothing colors, black was the most popular color in Seoul both in 2011 and 2012.
    However, in Dalian, white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2011 but Multi color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2012. It indicated that two cities’ preferred clothing colors were definitely different. Finally, for color coordination, both cities’ women highly preferred achromatic+chromatic colors in 2011 and 2012. The color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ill greatly contribute to distinctive product development by region and season when Korean fashion brands targeting for Chinese fashion market plan fashion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