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커먼즈 정치 관점에서 본 한국사회 길과 보행의 변화: 192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Changes in Korean Society’s Roads and Walk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s of the Commons: Focusing on the 1920s to the 1990s)

7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2.06
70P 미리보기
커먼즈 정치 관점에서 본 한국사회 길과 보행의 변화: 192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환경학회
    · 수록지 정보 : 공간과 사회 / 32권 / 2호 / 323 ~ 392페이지
    · 저자명 : 황명주, 윤순진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의 열악한 보행환경의 원인을 커먼즈 정치 관점에서 탐색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근대적 대중교통 이용이 본격화된 1920년대부터 보행환경을 개선·차별화한 아파트단지가 출현한 1990년대까지 언론기사를 담론분석하여, 근대화 과정에서 커먼즈로서의 길과 보행의 의미가 사회적으로 재구성된 과정과 원인을 분석하였다. 근대 교통수단의 도입으로 종래 커먼즈로 존재해왔던 길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1960~1980년대 개발시대에는 길과 보행에 대한 근대적 의미 변용이 이루어지며 ‘길=통행’으로 의미가 축소되었다. 이러한 의미 축소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길에서의 ‘생활혁명’ 요구, 권위주의 국가의 폭력적 공간화, 경제성장 중심주의였다. 1990년대 이후에는 보행권 운동과 함께 커먼즈로서의 길과 보행의 회복이, 다른 한편으로는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근린주거지역의 보행환경 양극화와 커먼즈 왜곡이 진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길과 보행의 의미가 사회적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향후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상상력을 제고하는 데 의의를 둔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causes of poor walking environment in Kore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s of the commons. To this end, media articles were analyzed from 1920s, when the use of modern transportation began in earnest, to 1990s, when some new apartment complexes with improved and differentiated pedestrian environment appeared in Korea. Through a discourse analysis on media articles, the process and causes of socially reconstructed meaning of the roads as the commons and walking on the road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Korea were examined. With the introduction of modern public transportation, the road that used to exist as a commons has undergone changes. In the development era of the 1960s and 1980s, the modern meaning of roads and walking was changed, and the meaning was reduced to ‘road = passage.’ There were three main reasons for this reduction in meaning: the demand for a ‘life revolution’ on the road, the spaced violence by the authoritarian state, and growth-centric economic development. After the 1990s, the roads as a commons were restored along with the pedestrian rights movement. On the other hand, the polarization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distortion of the commons in neighboring residential areas were found mainly in the newly constructed apartment complex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larifying the socially reconstructed process of the meaning of roads as commons and enhancing imagination to improve the walking environment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간과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