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91년 『열성어제』 간행과 판본 연구 (A Study on the Publication Process and Editions of 『Successive Kings’ Writings (列聖御製)』Published in 1691)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4.12
36P 미리보기
1691년 『열성어제』 간행과 판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 / 108호 / 187 ~ 222페이지
    · 저자명 : 이상백

    초록

    『열성어제(列聖御製)』는 조선시대 역대 왕의 글을 정리하여 편찬한 책이다. 열성어제 는 1631년(인조 9)부터 1865년(고종 2)까지 10차례 간행되었으며, 1691년(숙종 17) 간행본부터 체제가 확립되어 후대본에 영향을 미쳤다. 논문에서는 1691년 『열성어제』 간행의 전말이수록된 규장각 소장 『어제초등록』을 분석하고 1631년, 1679년, 1691년본 『열성어제』를 각각 연계 검토하여 1691년본『열성어제』의 간행 과정과 판본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열성어제』의 간행은 종부시가 주관하였는데,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종부시 제조를 『열성어제』간행 책임자인 낭선군 이우로 임명하였고, 부제조인 권유에게도 해당 임무를 부여하여 업무를 추진하게 하였다. 『열성어제』 수록 대상 어제는 사고(史庫), 중앙 및 지방 관청, 민가 소장 어제까지 폭넓게 검토하여 수집되었다. 둘째, 『열성어제』는 어제를 수집하면서 동시에 편찬이 시작되었다. 수집 어제는 초초, 중초로 정리되었는데, 정리 도중에 편찬 대상에 1631 년(인조 9) 『열성어제』와 1679년(숙종 5)에 『열성어제보유』를 통합하게 되면서 상당 시일이소요되었다. 『열성어제』의 판각과 인출은 종부시의 종학대청 등에서 진행되었고 전국에서 소집된 각수, 목수 등이 참여하였다. 간행이 종료된 후에는 오류가 확인되어 일부 내용이 다시 수정, 인쇄되었다. 『열성어제』는 위계에 따라 진상건, 진헌건, 국용건과 사고 및 관청 분상건으로 나누어 간행되었다. 셋째, 1691년 간행본은 1631년, 1679년본의 체제와 판식을 개편하였고, 전거(典據)를 추가하고 상세히 교감하는 등 내용을 보강하였다. 또한, 현존본 중에는 세자궁 진헌건, 국용건 및 내사건이 확인되었고, 판본 간의 연계 분석을 통해 내용 일부가 수정되는 양상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1691년본 『열성어제』의 간행 배경과 현전 판본의 서지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조명하였고, 이를 통해 조선 후기 중앙 서적 간행의 출판문화사적 의미를 밝혔다.

    영어초록

    『Successive Kings’ writings (列聖御製)』 is a book compiled by collecting the writings of the kings of the Joseon Dynasty. The book was published ten times from 1631 to 1865, with the system established from the 1691 edition influencing later editions. This paper analyzes historical records documenting the events surrounding the 1691 publication of 『Successive Kings’ writings』, preserved in the collection of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nd examines the analyzed content in relation to the editions from 1631, 1679, and 1691. The study reveals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publication of 『Successive Kings’ writings』 was overseen by the Jongbu-si (Office of Royal Genealogy), and to ensure a focused effort, the head of the Jongbu-si, Prince Nangseon (Yi U), was appointed as the person responsible for the project. The collection range of materials for publication of 『Successive Kings’ writings』 was extensive, ranging from central government offices to private households.
    Second, while collecting the writings, the compilation of the book also began. The collected writings were organized into manuscript version, and during the process, the 1631 and 1679 editions were also integrated, which caused considerable delays. The engraving and printing were carried out in the space of the Jongbu-si, with artisans such as engravers and carpenters from across the country participating. After the publication, errors were identified, and some contents were revised and reprinted. 『Successive Kings’ writings』 were published in different versions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intended readers.
    Third, the 1691 edition revised the structure and design of the 1631 and 1679 editions, added references, and provided more detailed annotations. Among the existing copies, there are versions that were stored in the crown prince's residence, in government offices, and copies that were granted by the king to his officials.
    This study comprehensively highlights the publication background of the 1691 edition of 『Successive Kings’ writings 』 and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iving copies, revealing the significance of late Joseon central publishing culture in the history of book publ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0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