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치광고에 대한 비교문화적 접근: 한국과 미국의 대통령선거(1992년~2004년) 정치광고를 중심으로 (A cross-cultural analysis of presidential commercial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1992~2004)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08.02
24P 미리보기
정치광고에 대한 비교문화적 접근: 한국과 미국의 대통령선거(1992년~2004년) 정치광고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광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광고학연구 / 19권 / 2호 / 103 ~ 126페이지
    · 저자명 : 차태훈, 김춘식, 하지영, 이영화

    초록

    이 연구는 기존의 비교문화 연구가 갖는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Nisbett의 접근(전체적/분
    석적 접근)을 바탕으로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를 파악하고, 이에 근거하여 정치광고가 동
    양(한국)과 서양(미국)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았다. Nisbett의 연구
    에 의하면 서양권 문화에 속하는 구성원들은 분석적인 차원에서, 그리고 동양권 문화에
    속하는 구성원들은 전체적인 차원에서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정치광고에 노출되
    었을 경우 서양인들은 정책과 같은 속성 정보에, 그리고 동양인은 이미지와 같은 배경 정보
    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Nisbett의 전체적-분석적 접근법에 근거하여 한국과
    미국의 TV 정치광고의 내용, 부정적 정치광고의 사용, 정보원, 표현방식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했다.
    한국과 미국의 대통령선거에 사용된 TV 정치광고를 내용분석한 결과 두 나라의 정치광고
    메시지는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첫째, 한국 TV 정치광고는 상대적으로 배경적 정보(후보
    의 자비, 능력, 경험, 정직성, 리더십, 개인적 특성, 강인함 등)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국 TV 정치광고는 속성적 정보(외교, 국방, 경제, 노동, 환경, 사회
    복지, 정부, 시민질서 등)를 더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정적 정치광
    고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정치광고에 등장하는 정보원 중 유명인 출현의 경우 한국 TV 정치광고가 미국 TV
    정치광고 보다 유명인이 더 많이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표현방식에 있어서 자막은 미국 TV 정치광고가 자막과 광고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광고 사용을 둘러싼 제도적·법적 환경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한국과 미국 대통령선거
    에서 방영된 텔레비전 정치광고의 메시지, 정보원, 표현방식 등을 비교하는 연구는 의미가
    있다. 선거캠페인 환경과 정치광고의 내용, 표현방식, 후보의 전략과의 관계를 살필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한국과 미국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서구 민주주의
    정치체제를 채택하고 있는 또 다른 국가들을 대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문화적 차이에 근거하여 실제의 선거캠페인에
    적합한 광고전략을 구사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culture on political advertising.
    More specifically, the study aims at exploring the feasibilities of using Nisbett's holistic
    versus analytic cognition approach as the conceptual framework which explains the differences
    of advertising types, valences and appeals between the U.S. and Korea.
    Nisbett and his colleagues believe that the considerable social differences that exist
    among different cultures affect not only their beliefs about specific aspects of the world
    but also tacit epistemologies, and even the nature of their cognitive processes. Work
    by Nisbett and his colleagues shows that East Asians would be expected to attend more
    to the field that European Americans, who would be expected to attend more to a salient
    targer objec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was expected that Korean presidential
    commercials would carry more field-oriented messages, whereas those of the U.S. spots
    would embody more focal-oriented cues in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ulture on political advertising, a sample of presidential
    commercials for the U.S. and Korea were compared.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defined as all political spots aired during the 1992-2004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s of both nations. A total of 92 commercials were content-analyzed in the study. For analysis,
    chi-square was chosen the appropriate statistical techniqu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valences,
    and appeals of political advertising between the U.S. and Korea. Field-oriented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for Korean
    commercials than for the U.S. spots. On the contrary, the focal-oriented cues were more
    contained in the ads of the U.S. compared in Korean political ads.
    In this context, it is concluded that the proposed conceptual framework-Nisbett's holistic
    versus analytic perception approach-was verified to be useful and valid in explaining
    the impact of culture on the types, valences and appeals of presidential campaigns ads
    between the U.S. and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