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80년대 문학의 전사(前史), 포스트­유신체제 문학의 의미 - 1979. 12. 12부터 1983년까지의 비평담론 (The Prehistory of Literature in the 1980s, The Meaning Literature in the Yushin System - Literary Criticism between December 12, 1979 and 1983)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5.06
35P 미리보기
80년대 문학의 전사(前史), 포스트­유신체제 문학의 의미 - 1979. 12. 12부터 1983년까지의 비평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50권 / 50호 / 415 ~ 449페이지
    · 저자명 : 고봉준

    초록

    이 논문은 12ㆍ12 사태 이후의 문학적 상황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는 이 시기의 문학적 현실을 재구성하는 작업이 1980년대 문학의 기본성격을 살피는 첫 걸음이라는 문제의식의 산물이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현대문학사는 10년 단위를 중심으로 분절되어 기술되어 왔다. 이런 감각에 기초하여 1980년대 문학이 1980년 5월에 발생한 광주민중항쟁에서 시작된다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 살피고 있는 것처럼 1980년의 문학적 상황은 오늘날 우리가 1980년대 문학의 특징으로 간주하는 항목들과 많은 점에서 불일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가령 1970년대 문학을 계간 문예지의 시대로 규정하고, 1980년대 문학을 무크지의 시대로 규정하는 기존의 학설은 역사적 사실을 왜곡할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980년대를 세 개의 시간단위로 분절해서 살펴야 한다는 주장을 제시했고, 특히 1980년대 문학을 무크지의 등장과 연계시켜 설명할 때에는 1984년 이전과 이후를 명확하게 구분할 것을 제안했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이 시기에 창작과비평사에서 출간한 기획 단행본 『한국문학의 현단계』와 자유실천문인협의회의 기관지였던 무크 『실천문학』,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한 무크 『우리 세대의 문학』이 1980년대를 어떻게 이해했는가를 비교ㆍ분석하는 데 집중했다. 이 비교ㆍ분석에 따르면 『한국문학의 현단계』는 당시를 분단시대로 인식하면서 민족문학론을 주요 이론으로 내세웠고, 무크 『실천문학』은 지식인 문학을 넘어서는 문학의 실천성에서 새로운 문학의 가능성을 찾았으며, 『우리 세대의 문학』은 보편담론을 중심으로 근대 또는 자본주의와의 긴장관계를 강조하는 방향을 선택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searched literary situations after the 12ㆍ12 Military Insurrection. This is the product of the critical mind that the work of reorganizing the literary reality during this period is the first stage in examining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in the 1980s. In general, Korea's modern literary history has been described via its segmentation on a 10-year basis. Based on this, a dominant viewpoint was that literature in the 1980s began with the Gwangju Democratic Movement which broke out in May 1980. However, as reviewed in this study, literary situations in 1980 shows discrepancy in many points with the items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in the 1980s. For instance, the existing theory defines literature in the 1970s as the era of quarterly literary magazines and literature in the 1980s as the era of mook. However, this theory involves the risk of distorting historical facts.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1980s should be examined by segmenting the period into three time uni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xplaining literature in the 1980s in connection with the emergence of mook, this period should be clearly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1984.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d on comparing and analyzing 『한국문학의 현단계(The Current Stage of Korean Literature)』, a special book published by Changbi Publishers, the mook 『실천문학(Practice Literature)』, an in-house magazine of the Association of Writers Practicing Freedom, and the mook 『우리 세대의 문학(Our generation's Literature)』published by Moonji Publishing in terms of how these magazines understood the 1980s. Ba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Current Stage of Korean Literature』perceived the respective time as the error of division and suggested national literary theory as a major theory. The mook 『Practice Literature』found the potential for new literature in literary practicality beyond the literature of intellectuals. On the other hand, 『Our generation's Literature』selected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the tense relationship with the modern era or capitalism based on universal discour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