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활성화 정책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평가에 관한 연구 : 정책 도입 직후(2016년 1차)와 6년 후(2022년 2차)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assessing the importance and prioritisation of the Digital Signage Industry Revitalisation Policy : Focusing on comparisons immediately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policy (first round in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4.08
34P 미리보기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활성화 정책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평가에 관한 연구 : 정책 도입 직후(2016년 1차)와 6년 후(2022년 2차)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OOH광고학회
    · 수록지 정보 : OOH광고학연구 / 21권 / 3호 / 61 ~ 94페이지
    · 저자명 : 천용석

    초록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그 해결책으로 대두되는 가운데, 디지털 사이니지는 새로 운 광고매체로 각광받으며 산업적 활용도가 재조명되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실내ᆞ외의 다양한 공간에서 최신 ICT기 술과 융합해 새로운 미디어로 활용 가능하다. 본 연구는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의 활성화에 있어서 정부가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들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제시하고자 했다. 특히, 정책의 도입 직후인 2016년과 그 후 6년이 지난 2022년의 두 차례의 조사를 통해서 정책의 성과와 그 기간 동안 변화된 산업을 조망해 보고자 했다. 이에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는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서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을 진흥시킬 수 있는 4개 분야의 구성 요소 (법제도 요소, 기술 요소, 콘텐츠 요소, 인프라 요소)를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정책의 의사결정에 직ᆞ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정부부처, 학계, 국책연구기관, 산업계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계층분석법(AHP)을 이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활성화 정 책의 도입 직후인 2016년과 그 후로 6년이 지난 시점인 2022년에 두 차례의 조사를 통해 구성 요소와 세부 정책들에 대 한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로, 정책 도입 직후(2016년) 시점의 우선순위는 설치 및 표시규제 완화, 신규 광고물 도입 확대, 콘텐츠 표출방 식 완화, 광고효과 측정도구 개발, 개인정보보호 가이드 마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책 도입 6년 후(2022년) 시점 의 우선순위는 설치 및 표시방법 완화, 콘텐츠 개발 지원, 광고효과 측정도구 개발, 자율심의 제도 도입, 개인정보보호 가 이드 마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활성화 정책이 도입된 이후 신규 디지털 사이니지 다수가 설치 및 운영되면서 실질적인 운영상 필요하거나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정책에 우선순위를 둔 것으로 판단된다. 특 히, 콘텐츠 개발은 디지털 사이니지의 특성상 실시간으로 콘텐츠를 표출해야하는데 광고만으로 소비자의 시선을 사로잡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양질의 콘텐츠가 필요하다. 다만 이러한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 및 수급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수반되는 만큼 이에 대한 재정적 지원과 더불어 ICT기술이 융합된 콘텐츠 개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된 다. 이외에도 광고효과 측정, 개인정보보호 가이드 마련의 경우 최근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효과측정이 가능해짐에 따라 디 지털 사이니지 주변의 유동인구에 대한 측정 등 신기술 도입에 대한 정책 지원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transformation is emerging as a solution, and dig- ital signage is gaining prominence as a new advertising medium. Digital signage can be used as a new media by converging with the latest ICT technology in various indoor and outdoor spac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various policies so that the government can efficiently utilise limited financial re- sources in the revitalisation of the digital signage industry. In particular, through two surveys in 2016, shortly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policy, and in 2022, six years later, we aimed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policy and the changes in the industry over the period. As a specific research method, we established four com- ponents (legal system, technology, content, and infrastructure) that can promote the digital signage industry through the study of existing literature. Next, we conducted two surveys of government departments, academia,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y experts who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 in policy decision-mak- ing, using the hierarchical analysis method (AHP) to calculate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components and detailed policies in 2016, immediately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digital signage industry revitalisation policy, and in 2022, six years later.
    According to the results, immediately after the policy was introduced (2016), the top priorities included re- laxing installation and display regulations, expanding the introduction of new advertisements, easing content display methods, developing advertising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s, and establishing privacy guidelines. Six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policy (2022), the results showed that installation and display methods were relaxed, content development was supported, advertising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s were developed, a self-review system was introduced, and a privacy guide was prepared. This change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a large number of new digital signage systems have been installed and operat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Digital Signage Industry Revitalisation Policy, prioritising policies deemed necessary or important for practical operations. In particular, content development requires real-time display of content due to the nature of digital signage, and it is difficult to capture the attention of consumers through advertisements alone, so quality content is needed to compensate for this. However, as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such quality content entails a lot of costs, it is interpreted that financial support for this is necessary, as well as support for con- tent development that combines ICT technology. In addition, in the case of measuring advertising effectiveness and preparing privacy guidelines, it has recently become possible to measure effectiveness using artificial in- telligence (AI), and the measurement of the flow of people around digital signage shows the need for policy support for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