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87년 헌법개정안 형성과정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1987)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6.04
25P 미리보기
1987년 헌법개정안 형성과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헌법연구 / 22권 / 1호 / 1 ~ 25페이지
    · 저자명 : 정상우

    초록

    1987년헌법은 우리나라 헌정사에서 민주항쟁의 결과로 여야 합의로 개정되고 국민투표를 거쳐 확정되었으며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는 최장수 헌법이다. 현행 헌법은 1987년 민주화 과정을 통해 탄생하였는데 특히 1986년 각 정당 헌법개정안이 나온 이후 당시 대통령의 호헌 발언, 6월 민주화항쟁과 6ㆍ29선언, 대통령직선제 합의 등 정치적 격동의 과정에서 국민적 헌법개정의사가 적극적으로 표출되는 과정을 통해 탄생하게 된 것이다. 1987년헌법 개정안이 구체화되는 절차는 8인정치회담과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에서였다. 8인 정치회담에서 대통령 직선제 등 주요한 쟁점 사항은 사실상 국민적 요구를 수용하기로 하였기 때문에 약 1개월이라는 비교적 길지 않은 시간에 헌법개정안 협상을 진행하였다. 정치적인 쟁점의 타협과 합의는 8인 정치회담에서 이루어졌지만 헌법개정안 조문화는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를 통해 이루어졌다. 정부형태에 있어서는 민주정의당안에서는 대통령 직선, 임기 6년의 중임 금지, 부통령이 없었던 반면 통일민주당안과 신한민주당안은 대통령과 부통령의 직선 단일투표제, 4년 1차 중임, 부통령 신설, 국무총리 존치라는 특징을 띠고 있었다. 사법부에 있어서 통일민주당안과 신한민주당안은 법관추천회의를 신설하였고, 민주정의당안에는 헌법재판소를 신설한 것이 특징이었다. 1987년헌법 개정이 우리나라 헌법개정사에 있어 민주항쟁과 여야합의에 기초한 민주적 헌법개정이라는 평가가 많지만, 개헌안 형성과정에서 일반국민과 충분한 의사소통절차를 거치지 않았다고 보는 비판적 견해도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당시 헌법개정에 참여했던 국회의원들은 대체로 6월민주항쟁으로 국민들의 의사가 충분히 표출되었고 정치권은 이를 충실히 반영했다는 입장이다. 1987년헌법개정안 형성과정을 살펴보았을 때, 헌법개정안 마련을 위한 국회의 특별위원회 또는 자문위원회 등의 구성은 헌법개정의 담당자를 정하거나 헌법개정의 방향성을 정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정당성을 최대한 높인 방식을 채택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The present Korean Constitution was established through the democratizing process in 1987 and was revised and reformed according to people’s active expression of intention for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It was made by an elite-driven proposal of constitutional reform such as the talk of eight. The bill for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1987 was finalized at the talk of eight and the special commission for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the National Assembly. Because the people’s voice on major issues including a direct presidential election system was heard at the talk of eight (8), the revised bill of the Constitution was negotiated for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about one month. At that time, there was some resistance to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by the people, but it seemed hard to deny that the actual establishment of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was made by the decision of some politicians and an elite negotiation. In terms of the form of government, there was negotiation between the direct election system of a single six-year term suggested by the Democratic Justice Party, and the president and vice president system of two four-year terms suggested by the opposite party. Also, the form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proposed by the Democratic Party was adopted, but a judicial nominating commission proposed by the opposite party was not adopted.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 a system of constitutional appeal was added.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in 1987 is the most democratic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onstitutional reform, but there is an another view that the bill for Constitutional Reform did not include adequate communication with people, which was a problem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bill for the Constitutional Reform. However,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who were involved in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have said that people’s opinions were adequately expressed through the June Democracy Movement in 1987 and the political circles adequately reflected such people’s opinions. The formation of a special commission for the bill for Constitutional Reform at the National Assembly may affect the Constitutional Reform process. Therefore, it should adopt the system which maximizes its legitima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