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미디어에 나타난 여성 외모담론 - 2000년부터 2017년 뉴스 기사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 (Discourse on Women’s Appearance in the Korean Media - Focused o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News Articles from 2000 to 2017 -)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9.09
20P 미리보기
한국 미디어에 나타난 여성 외모담론 - 2000년부터 2017년 뉴스 기사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19권 / 3호 / 19 ~ 38페이지
    · 저자명 : 안진현, 하지수

    초록

    언론과 외모관리 소비산업의 상업적 목적과 수익구조는 자본주의의 발달에 따라 심화되어, 단순히 생물학적인 아름다움이 아닌, 미디어 속에서 규정되는 외모를 여성이 추구하도록 만든다. 특히 이러한 과정을 통해형성된 신체 변형에 관한 담론은 일종의 이데올로기로서 여성이 스스로 신체를 깎아내고 다듬는 변형을 통해 외모를 획득하도록 조장하고 있다. 따라서 미디어 속에서 여성의 외모담론이 어떠한 방식으로 생성되었는지, 특히 신체와 신체 변형에 관하여 여성들이 어떠한 행동을 실천하게 만드는지 분석함으로써 미디어 내에형성된 한국 여성의 외모담론을 맥락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 미디어가 신체 변형을중심으로 담론을 생산하는 방식과 그에 따라 변화한 여성의 외모 인식과 태도를 이해하여, 한국 미디어에나타난 여성의 외모담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0년부터 2017년까지 6개사의 중앙지에 실린 뉴스 기사를연구 범위로 페어클로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해 한국 미디어에 발견된 담론은 스펙화된 외모관리, 파편화된 외모개념, 내재화된 외모평가와 심화된 외모 감시, 파괴적 외모담론과 주체적 외모 실천의 공존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미디어는 더 아름답고 나은 외모를 갖고 싶도록, 또 이를 가져야만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신체 변형을 종용하고 획일화된 욕망을 심어주는 미디어는 사회 구성원들을 향해 부적절한 권력을 행사하고있었으며, 끝없는 욕망의 실현을 위해 사회 구성원들은 중요한 자신의 삶과 가치를 파괴하고 있었다. 무한경쟁의 한 가운데 외모를 두고, 특히 변형을 통한 신체 운용에 더 몰입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외모담론은결코 한두 개의 뉴스 기사 내용으로 형성되거나, 짧은 시간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다. 일상 언어가 반영되어오랜 시간 동안 공고하게 외모담론이 권력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한국, 미디어, 그리고 여성이라는 특수성 속에서 외모담론들이 형성되고 개인의 실천으로 행해지는 것에 대해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현 한국 미디어가 만들고 여성들의 실천으로 심화되는 여성의 외모담론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패션디자인적인 입장에서 한국 사회만의 독특한 외모관리 현상을 구체적으로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Commercialism and the profit structure of the media and the consumer appearance management industry have been intensified with the capitalistic development, making women pursue appearance defined by the media rather than the biological beauty. In particular, as a kind of ideology, discourse on the body modification established from such a process encourages women to acquire their appearance through modification cutting and trimming a body. Hence, it is needed to understand the discourse on Korean women’s appearance in media from a contextual way by analyzing how such discourse was created in media and especially what action women do for a body and body modific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discourse on female appearance in the Korean media with understanding on the way they produce the discourse based on body modification and females’ changing perception and attitude on appearance. Through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6 daily newspapers from 2000 to 2017, discourse from the Korean media could be analyzed into the appearance management as qualification, appearance concept fragmented, appearance evaluation internalized, appearance surveillance deepened, and the coexistence of destructive appearance discourse and subjective appearance practice. The media was making females desire for more beautiful and better looks and saying that they had to have it. The media were exercising the unfair power over community members, urging them to transform their body and implanting standardized desire in their mind, and they were destructing their lives and values significant to them. They are to put their looks in the center of the limitless competition and especially be immersed in the operation of a body through the modification. Such discourse on appearance was neither formed by one or two news articles nor established within a short time. It has been reflecting the ordinary language and acting as the power for a long time in a stable manner. Through a multilateral approach to the discourse on appearance which has been established in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 media and women and conducted by individual practice since 2000,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reconsidered perception of the discourse on female appearance formed by the present Korean media and deepened by practice of women and investigated an appearance management phenomenon of Korean society’s own from a perspective of fashion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