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인의 북한관광 변화 연구 - 1980년대부터 2017년까지의 전개과정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es of China's Tourism to North Korea: Focus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Meaning between 1980s and 2017)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8.06
46P 미리보기
중국인의 북한관광 변화 연구 - 1980년대부터 2017년까지의 전개과정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북한학연구 / 14권 / 1호 / 41 ~ 86페이지
    · 저자명 : 김한규

    초록

    중국인의 북한관광은 시대별로 나누어 그 변화 과정을 고찰할 수 있는데 방북관광이 처음 시작된 1980~1990년대, 유치 노력과 갈등 가운데 변곡점을 마련한 2000년대, 단체관광목적지(ADS) 지정 이후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인 2010년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980~1990년대에는 변경관광 형태로 방북관광이 이뤄졌으며 단둥과 훈춘을 중심으로 신의주와 라진선봉 지역 등의 변경관광 코스가 다양하게 확대됐다. 2000년대 초반에는 아리랑축전을 활용해 성장세를 보이다 중반 들어 북핵실험 등으로 관광중단이 이어져 경색국면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후반에는 북한이 중국의 단체관광목적지 국가로 지정되면서 일대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는데 2010년대 들어서는 본격적으로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중국인의 방북관광 규모는 대체적으로 박스권 안에서 갈지자 행보를 보이면서도 그 박스권이 점차 우상향하는 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갈지자 행보를 보이는 것은 변동폭이 크다는 것으로 그만큼 중국 관광객 유치가 대외 환경 변화에 취약하다는 것을 반증한다. 아울러 중국인의 북한관광은 북중관계를 들여다볼 수 있는 창을 제공하고 있는데 관광중단과 재개 흐름을 고찰함으로써 ‘주도권의 변화’라는 틀로 분석 가능하다. 2000년대 이전에는 대체로 북한이 관광 중단 조치를 내리는 주체였다. 이는 일반적인 인바운드-아웃바운드 관광 국가간 관계와는 다른 모습이다. 또한 북한의 실질적인 관광중단 사례를 살펴보면 북한은 정치군사적으로 국제사회와 대립각을 세워왔기에 관광중단 또한 정치적, 군사적 이유가 제일 많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의외로 관광조건 협상 차원에서 중단한 경우가 빈번했다. 북한은 중국 관광객 유치와 관련해서는 매우 실리적이고 경제적으로 접근한 셈이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관광 중단 조치를 내리는 주체는 중국이 압도적이었으며 이는 관광 주도권이 중국으로 기울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국의 관광 중단은 대부분 북핵실험과 관련돼 이뤄졌는데 중국은 북핵실험 등에 대한 압박수단으로 관광을 적극 활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rocess of change in China's tourism to North Korea can be viewed chronologically, by 1980s to 1990s when the tourism first started, then by 2000s at a standstill, and by 2010s when the tourism showed the biggest growth since the ADS was appointed. Tourism in 80s and 90s was mainly the visits around the borders and became gradually expanded to other border areas such as Dandong and furthermore to Sinuiju and Rajin-Sonbong . In 2000, Arirang Festival seemed to escalate the growth, however, the nuclear experiments in the mid 2000s caused the tourism to a halt. In late 2000s, China designated North Korea as the group tour destination which marked a turning point in the industry followed by the biggest growth in the 2010s. The size of the China’s tourism to North Korea shows fluctuated in the box pattern, but the pattern itself grows continuously. The fluctuation proves that the China’s tourism to North Korea is vulnerable to changes in the external circumstances. Also it provides a window through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can be observed. By considering flow of the cease and restart of the tourism can be analyzed in the frame of ‘change of initiatives and weaponization of tourism’. Before the 2000s, North Korea took the initiative in halting the tourism which is unusual in the relationships among countries with the inbound-outbound tourism. North Korea had been politically and militarily against the international society, hence, it is expected that the country ceased the tourism by the same ideological reason. However, contrary to the expectation, it often came to a halt by the failure of negotiations. In terms of attracting the Chinese, North Korea took the very practical and economical approach. After the mid 2000s, China took the dominant initiative in ceasing the tourism which shows the leadership has moved to China. The nuclear experiments by the North Korea are mostly blamed as the cause which also shows that China is actively utilizing tourism as a tool to pressure North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