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업컨설팅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2013년~2021년(11월까지) 발행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Research Trend on Instructional Consulting: Focus on the Publication of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13 to 2021(until November))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2.12
18P 미리보기
수업컨설팅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2013년~2021년(11월까지) 발행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2권 / 24호 / 591 ~ 608페이지
    · 저자명 : 정민영, 김현준, 이상수

    초록

    목적 이 연구에서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최정임 외(2015) 연구동향분석 이후(2013년~2021년 11월까지) 진행된 수업컨설팅 연구동향분석을 기반으로 수업컨설팅 분야 연구의 촉진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방법은 ‘연구동향분석’이다. 분석준거로 양적변화, 연구대상, 연구목적, 연구방법을 설정하였으며, 연구도구로 엑셀과 파워쿼리, 텍스톰을 활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도구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작성과 시각화 자료 생성을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수업컨설팅 연구물은 2012년까지 증가세를 보였으나(최정임 외, 2015) 2013년 이후 현재까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특히, 수업컨설팅 연구물은 초기~중기구간에 집중되어 있는 등 최근 3년 내 수업컨설팅 연구가 미흡한 모습이 발견되었다. 둘째, 수업컨설팅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대상은 주로 ‘교수자’였으며 비율은 초등학교, 대학교 중등학교⋅유아급 비율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중 ‘학습자’는 미미하였는데 대학교급이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셋째, 수업컨설팅 연구에서 연구목적은 실태조사, 실천사례발굴, 발전방향탐색, 모형개발, 특성분석⋅효과성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업컨설팅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방법은 사례연구, 문헌연구, 조사연구, 실험연구,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첫째, 수업컨설팅 연구는 교육정책의 흐름에 영향을 받아 축소되면서 감소하였지만, 수업컨설팅 학계 연구자들의 관심 증대와체계적인 연구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수업컨설팅의 목적인 학습자의 학습개선이 달성되었는지를 점검하는 연구가 확대⋅실시될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가 자발적으로 수업컨설팅에 참여하는 방안 탐색, 제도적 장치 마련이 지원되어야 한다. 셋째, 연구목적 동향이 수업컨설팅 실천에 주목하기보다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사례분석 후, 체제적 관점에서 수업컨설팅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긍정적동향이 지속되어야 한다. 넷째, 연구방법이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는 경향성을 유지하기 위한 수업컨설팅 분야 연구자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지적될 수 있는 국외 연구물 등 다양한 분석자료가 사용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극복되어야 하며, 수업컨설팅 연구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제도적 측면의 시사점 도출 수준까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trend of instructional consulting research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nd derive the research results, research trend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of four types (quantitative change, research subject, research purpose, and research method). Excel, power query, and textom are research tools for creat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generating visualization data.
    Results First, instructional consulting research showed an increase until 2012. However, it has been steadily decreasing since 2013. In particular, instructional consulting research is concentrated between early and mid-term.
    Insturctional consulting research within the last three years is insufficient. Second, the research subjects set in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research were mainly ‘instructor’, and the ratio was in the order of elementary school, university secondary school, and infant level. Among the research subjects, ‘learner’ were insignificant, but the university level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Third, in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research, the research purpose was in the order of fact-finding, discovery of practice cases, search for development directions, model development, characteristic analysis, and effectiveness. Fourth, the research methods used in instructional consulting research were in the order of cas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investigation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and others.
    Conclusions First, instructional consulting research decreased as it was reduced due to the flow of educational policy, bu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nterest of instructional consulting academic researchers and systematic research support.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conduct research to check whether learners' learning improvement, which is the purpose of instructional consulting, has been achieved. In addition, it should be supported to search for ways for teacher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to prepare institutional devices. Third, rather than focusing on instructional consulting practice, the research purpose trend should continue to secure basic data, analyze cases,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instructional consulting development from a system perspective. Fourth,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by researchers in the field of instructional consulting to maintain the tendency that research methods are not biased to one si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