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서울의 도시성과 사회적 전유의 문제 -박태순의 196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The problem of urbanity and social appropriationof Seoul in the 1960s -Focusing on Park Tae-soon’s 1960s Novel-)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9.09
36P 미리보기
1960년대 서울의 도시성과 사회적 전유의 문제 -박태순의 196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67권 / 67호 / 209 ~ 244페이지
    · 저자명 : 김정남

    초록

    본고는 사회적 전유(專有, appropriation)의 문제가 중핵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1960년대 박태순의 소설을 대상으로 당대 문학 속에 나타난 서울의 도시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박태순의 소설은 1960년대 사회에 있어 소시민적 일상성 안에서 발견되는 전유의 문제, 근대의 사회적 문화적 전유 상황 속에서 나타나는 떠돌이 의식의 문제, 정치적 폭압과 데몬스트레이션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전유의 양가적 의미, 도시의 확장과 도시 난민의 발생에 따른 공간의 서열화와 전유의 문제 등 근대 도시의 다양한 정치적․사회적․문화적 전유와 재전유의 문제의식을 담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도출된 1960년대 서울의 도시성과 사회적 전유에 대한 해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성의 차원에서는 세대 폭력의 맥락에서 관료주의와 권위주의로 무장한 1960년대 불통의 사회상(「생각의 시체」), 범죄와 윤리의 배반 그리고 도피적 염원으로 점철된 도시성(「동사자」), 1960년대의 질곡 속에서 비(非)성장의 젊음을 겪는 청춘들의 실존적 방황(「연애」), 소시민적 일상성 위에 구축되어 있는 초라한 안정과 관계성의 문제(「뜨거운 물」, 「하얀 하늘」)라는 의미를 도출했다.
    둘째, 문화적 차원에서는 근대의 전유와 방랑의 문제에 대하여 접근하였다. 「서울의 방」에서는 외화내빈의 질곡을 안고 있는 근대의 흉물인 양옥집이라는 공간의 상징을 통해 근대 기획의 허술함과 한국적 근대의 기만성을, 「이륙」에서는 천민(賤民)들의 세계가 현대의 세계라는 사유를 바탕으로 소시민성에 대한 자각과 자기실현의 불가능성을, 「도깨비 하품」에서는 자본의 전유 공간에서 경제적 동물이라는 편벽한 세계가 팽창하게 되는 사회상을 각각 이끌어냈다.
    셋째, 정치적 강제와 전유의 맥락에서는 4․19혁명의 과정에서 나타난 전유와 재전유에 담긴 정치적 함의와 혁명의 이면을 읽어냈다. 「무너진 극장」에서는 평화극장이라는 공간에 대한 시위대와 주민 그리고 군인들 사이의 입장을 둘러싼 전유의 정당성 논란과 함께, 시위의 과정에서 나타난 냉혹한 도취 혹은 무질서라는 왜곡된 광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혁명의 이면적 의미를 도출했다. 혁명과 그 실패에 따른 후일담이라고 할 수 있는 「당나귀는 언제 우는가」는 미완의 혁명인 4․19와 5․16군사쿠데타 이후 나타난 소화불량증에 걸린 사회에 진입하지 못한 채 낙오된 젊은이들의 숨죽인 비극을 그려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근대 도시 공간의 팽창에 따른 공간의 서열화와 강제적 전유의 문제는 외촌동 연작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정든 땅 언덕 위」와 옴니버스 소설「삼두마차」에서 잘 나타난다. 먼저 「정든 땅 언덕 위」는 인간 쓰레기라고 할 수 있는 난민들을 강제 이주시킨 외촌동을 배경으로 그곳에 살고 있는 인간 군상들을 만화경적으로 관찰하고 이들의 인생유전 속에 담긴 끈질긴 생명력에 주목하였다. 「삼두마차」중 ‘쥐꼬리 장사’는 서울중심주의에 기초한 농촌의 황폐화를 풍자의 기법으로 형상화했으며, ‘팔금산으로 가자’는 지방에서 서울로 다시 서울에서 외촌동으로 이어지는 전락의 구조를 통해, 한국의 현실에 끼어들 자격조차 상실한 최후의 인간 쓰레기장 혹은 게토(ghetto)로서의 외촌동의 형성 과정에 주목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ovels of Park Tae-soon in the 1960's, that the problem of social appropriation occupies a core part. Park Tae-soon’s novel has various appropriations and re-appropriations based on everyday, cultural, political, and spatial contexts in modern city. These are question of appropriation found in the everydayness of petit bourgeois, the problem of wandering consciousness emerging in modern social and cultural appropriation situation, the ambivalent meaning of appropriation in the process of political intimidation and demonstration, expansion of the city and the occurrence of urban refugees in 1960s society and so forth. The result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urbanity and social appropriation of Seoul in the 1960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imension of everydayness, the following meaning was derived. It is in the context of generational violence, the 1960s interruption societies armed with bureaucracy and authoritarianism (「The dead body of thought」), urbanity as a result of crime and ethical betrayal and fugitive desire(「A person frozen to death), the existential wandering of youths who are experiencing unseasonable youth in the vagaries of the 1960s(「date」), The problem of poor stability and relationship built on the everydayness of petit bourgeois(「Hot water」, 「White sky」).
    Second, in the cultural dimension, approached the question of modern appropriation and wander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or this purpose; through the symbol of the western- style house, the infamous of the modern, the laxity of modernity project and the degeneracy of Korean modernity(「Room of Seoul」), awareness of petit bourgeois and the impossibility of self- realization based on the idea that the world of the lowest class of people is a modern world(「Take-off」 ), the aspect of society in which the one-dimensional world of economic animals expands in the appropriation space of capital(「Yawning of the goblin」).
    Third, in the context of political enforcement and appropriation, read the political implications and the reverse of the revolution of the appropriation and re-appropriation in the process of the 4․19 revolution. In the 「Theater of the Fallen」, there is a debate on the legitimacy of the appropriation of the position between the demonstrator, the residents and the soldiers in the space called the ‘Peace-theater’, and how to evaluate the distorted plaza of ruthless intoxication or disorder in the process of demonstration. 「When the donkey cries」 which can be called reminiscences due to the revolution and its failure is described the tragedy of the young people who had fallen into a society that had suffered from dyspepsia since the unfinished revolution of 4․19 and 5․16 Military Coup d'etat.
    Fourth, the problem of the ranking of the space and the compulsory appropriation due to the expansion of the modern urban space can be seen in the 「Land of become attached on the hill」 and the omnibus novel the「Tree-horse carriage 」. First of all, the 「Land of becoming attached to the hill」 was observed with kaleidoscopic human beings living there in the background of the ‘Oechondong’ which forced refugees who could be called ‘human waste’ and paid attention to the persistent vitality contained in them. In the 「Tree- horse carriage」, ‘Business of rattail’ symbolizes rural degradation based on Seoul-centrism as a technique of satire, and ‘Go to Mt. Pal-Gum’ attention was paid to the process of forming the ‘Oechondong’ of the country as a final human garbage dump or ghetto that even lost the right to engage in the reality of Korea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tumble that from rural district to Seoul, from Seoul to Oechond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