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의 고암대종사 (A Study on Goam in the 197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07.12
32P 미리보기
1970년대의 고암대종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0호 / 353 ~ 384페이지
    · 저자명 : 이경순

    초록

    이 글은 1970년대 古庵大宗師(1899~1988)의 행적을 살핀 것이다. 고암은 曹溪宗 宗正을 역임한 한국 현대불교의 대표적 고승이다. 1988년 입적하였지만 수행자로서, 청정율사로서의 행적은 수많은 문도와 신자들 사이에 현재까지 회자되고 있다. 또한 3차례나 종정에 추대된 인물로서 현대 조계종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빠질 수 없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1970년대는 고암의 행적에서 중요한 시기였다. 고암은 1970년대 신흥사 조실로서 신흥사를 중창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으며, 3차례 조계종의 종정을 역임했다. 교단사에서 1970년대는, 1954년부터 시작되어 10여년을 끌던 종단정화의 광풍이 지나간 후 정화의 정착과 敎政의 안정이 기대되던 시기이다. 그러나 중앙 종단의 권력과 각 사찰의 이권을 둘러싼 분규와 소송이 끊이지 않아 교단의 혼란과 위신 추락이 날로 더해가던 시기이기도 하다. 1970년대의 조계종의 종정은 지금과 같이 상징적 위상을 갖는 종정과는 다른 성격을 띠고 있었다. 종정은 종단정치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종단운영에 막강한 힘을 발휘했다.
    고암은 종정으로서 종단정치에 관여하였고 때론 분규의 주역으로서 세간에 알려졌다. 고암은 1970년대 종정으로서 분규와 기강해이로 대혼란을 겪던 당시 승단을 이끌어야 했다. 수행이 바탕이 된 승단정화를 꾀한 고암은 종정유시를 통해 종회를 유보시키거나 총무원장 중심제로의 종헌개헌에 반발하는 등 종정의 권한에 대한 논란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청정율사로서, 전국과 세계를 누빈 포교사로서 평생을 살았던 고암의 일생에서 1970년대는, 종단의 정신적 수장이라는 영광과 혼란뿐인 종단정치의 상처가 교차하던 시기였다. 그러나 1970년대 고암은 승단분규의 중심에서 정화과정에서 파생된 승단 내 문제를 인식하고, 정화의 완성과 당대 한국불교 승단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1970년대 고암의 행적연구가 현대 고승으로서 고암의 전반적 생애와 사상에 대한 연구와, 승단분규의 시대로만 규정된 1970년대 불교계에 대한 관심과 연구를 촉진할 수 있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Goam's activities in the 1970's. Goam was one of the great Seon masters of contemporary Korean Buddhist history. He was famous for a respectable Seon ascetic and stern vinaya master. He also was had as the 3rd, 4th, and 6th Supreme Patriarch of the Jogye order from the end of 1960's to the end of 1970's.
    In the 1970's, Goam helped Sinhungsa be restored as the head temple in Gangwon province and participated in official affairs of Jogye order. He had reserved the activity of the Central Assembly of Jogye order and vetoed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of the Jogye order, which aimed to restrict the competence of the Supreme Patriarch. This caused lots of controversies about the limit of authority of the Supreme Patriarch. However, he realized the aftermath of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from the 1950's and tried to overcome all difficulties in order to reform Sangha society.
    I wish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promote the research about the lifetime of Goam as the representative master as well as the 1970's Jogye order in contemporary Korean Buddhist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