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매체의 전환에 따른 무협소설의 변화 양상 연구 - 1990년대~2000년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Mu-hyeop(martial arts) Novels to Media: Focusing on 1990's~2000'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3.06
36P 미리보기
매체의 전환에 따른 무협소설의 변화 양상 연구 - 1990년대~2000년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9권 / 2호 / 11 ~ 46페이지
    · 저자명 : 이주영

    초록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중반에 걸쳐 이루어진 무협소설의 변천사를 매체의 변화와 함께 살피고자 한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중반에 걸쳐 이루어진 매체의 급격한 전환 및 출판 시장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장르소설을 크게 변화시켰다. 1960년대부터 한국의 대중장르서사의 큰 축이었던 무협소설은 오래된 만큼 많은 부침을 겪었다. 그중에서 가장 눈에 뜨이는 변화는 2000년대 초반에 있었던 연재 체제의 변화다. 이러한 문제는 매체의 변화와 맞물리는 측면이 있으며, 그것이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걸쳐서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ADSL 기술의 본격적 도입으로 인한 인터넷 매체의 급격한 대두는 대본소 및 대여점 중심의 무협소설의 소비를 변화시켰다. 이러한 지점이 그동안 제대로 연구되지 않았고 이에 따라 PC통신과 인터넷 매체 사이의 변화를 다룬 연구가 부재한 상황이다. 이 글에서는 무협소설을 중심으로 이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하여 몇 가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무협소설은 인터넷 매체 중심으로 전환되며 출판 시스템의 변화가 있었다. 또한 한 층 서사의 길이가 길어졌으며, 서사의 규모적 측면 또한 확장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부분을 통해 살핀 결과, 그간 ‘신무협’으로 통칭되던 90년대 중반 이후 무협소설은 지면형 무협소설과 게시판형 무협소설로 분류하여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본다면, 당시 장르소설에 대한 논의를 좀 더 풍성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changes of Mu-hyeop (martial arts) novels from the 1990s to the mid-2000s, along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 media. From the 1990s to the mid-2000s, the media and publishing market have transformed rapidly and the changes have influenced the genre. Mu-hyeop novels have been a major part of Korean popular culture since the 1960s and it had to adapt along with the cultural movements The most noticeable change happened in the early 2000s due to the change in the publishing system of Mu-hyeop novels. These problems coincided with the changes with the media, and these changes influenced the genre from the mid-1990s to the early 2000s.
    With the full-scale introduction of ADSL technology, the rapid rise of the Internet has changed the consumption of Mu-hyeop novels. The lending libraries(대본소, 貸本所) and rental shops, which had been the main spots for consuming the novels are no longer the place for Mu-hyeop readers. These points have not been studied properly so far, and there is no research that deals with changes between PC communication and Internet media. This paper focused on Mu-hyeop novels, and insightful contributions have been made. The publishing system of Mu-hyeop novels has changed when transformed to the Internet Media. Through these changes, the length of the narrative was extended, and the scale of the narrative also exapaned. Mu-hyeop novels after the mid-90s, which now are commonly referred to “Shinmuhyeop,” (New mu-hyeop) can be divided into paper-type and bulletin board-type. Through this, the chracteristics of the genre novels at the tame can be discussed meaninghfu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