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87년 후 20년간의 사회통제 법제 - 시민적 자유에 관한 신자유주의의 역설 - (On the Social Control Laws for Twenty Years since 1987 : A Paradox of Neoliberalism on Civil Libertie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08.03
29P 미리보기
87년 후 20년간의 사회통제 법제 - 시민적 자유에 관한 신자유주의의 역설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민주법학 / 36호 / 47 ~ 75페이지
    · 저자명 : 박지현

    초록

    지난 20년간 시민적 자유, 혹은 시민권에 관한 법제의 변동 과정을 살펴보고 그와 그간의 신자유주의화와의 연관을 밝히고자 한다. 이 글은 우선 사회통제 법제라는 범주에 동의를 구한다. 사회통제 법제란 국가가 사회, 특히 시민사회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통제하는 데 이용하는 법제이다. 그간 사회통제 법제는 첫째, 국가보안법, 보안관찰법과 같은 안보 범죄 대응 법들이 건실히 존치됨으로써 사상통제, 다시 말해 반정부적 사상을 그 자체로 범죄시하는 직접적인 사상 통제가 계속되었다. 둘째, 집시법의 점진적 개악에서 보는 바와 같이 행동통제 법제는 점차 강화되어 왔다. 셋째, 통비법, 정보통신망법, 형통망 사업(전자정부법)의 추진 과정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전자정보 통제가 강화됨으로써 전자 감시에 의한 일상의 통제의 시대가 개막되었다. 넷째, 그간의 사회통제 법제는 불법의 ‘법제화’, 불법의 합법화 과정이었다. 한국의 신자유주의가 자유를 겉으로 내세우면서도 정치적 시민적 자유를 억압하는 방법을 동반하였다는 점은 얼핏 보면 역설 또는 모순으로 생각될 수 있으나 이 점은 신자유주의적 개혁이 국가주도성을 요구하는 역설과 같은 선상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한편으로는 일부 제도화된 사회민주적 조치들의 철회라는 적극적 활동이, 다른 한편으로는 아직 제도적으로 보장되지 못한 사회민주적 조치들의 실현을 요구하는 기층 계급계층에 대한 권위주의적이고 비민주적 방식의 적극적 활동이 바로 국가 주도의 신자유주의적 개혁이다. 사회통제 법제에 대한 민주법학의 과제는 헌법이 명하고 신자유주의가 부정하고 있는 시민적 정치적 기본권이 실현될 수 있도록 이론적 실천적 조력을 부단히 아끼지 않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aiming at making clear how the society-controlling laws, by which I mean the laws or legal system to control and intervene in civil society, have changed for twenty years since 1987 democratization.
    The society-controlling laws since 1987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the direct controls on thoughts have been maintained such as National Security Law and Security Observation Law which punish thought crimes and surveil the released thought-criminals. Secondly, the action-controlling laws have been gradually strengthened, as can be seen in several revisions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Law. Thirdly, the controls over electronic information have been strengthened and thereby have place the people under the routine electronic surveillance. It can be seen in the changes of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and the IT Network Law and in the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Integrating Project. And finally, the society-controlling laws have been 'legalized' or 'legislated'.
    It seems a paradox that the Korean neoliberalism stands for, but actually suppresses the liberties, more precisely, the political and civil liberties. Nonetheless it is not paradoxical, considering the state-initiated character of neoliberalism. The neoliberal states are taking positive actions to repeal the social democratic measures on the one hand and to suppress the people demanding the realization of those measures on the other hand.
    It still remains our task to giv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sistance to those who struggle for the fundamental civil and political rights, which the Constitution guarantees while neoliberalism den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