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중산층의 소유 욕망과 불안 : 박완서의 1970년대 저작을 중심으로 (The Desire for Ownership and Anxiety of Middle Class in 1970s : Focused on Park, Wanseo's Early Writings)

6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7.06
60P 미리보기
1970년대 중산층의 소유 욕망과 불안 : 박완서의 1970년대 저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50권 / 85 ~ 144페이지
    · 저자명 : 황병주

    초록

    1970년대는 한국 사회가 본격적으로 자본주의 화폐경제를 경험했던 시대였다. 이는 화폐를 매개로 한 소유 욕망이 한껏 부풀어 오르는 시대였다는 의미이다. 소유가 계층 구분의 거의 유일한 기준이 되는 상황이 등장했고, 이는 신분제와 달리 유동적이며 유연한 계층 이동이 가능함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앙샹 레짐의 규정력이 매우 약화된 것으로 보이는 이 자본의 전일적인 지배 양상이 계층 상승의 희망으로 보였을 가능성이 농후했다.
    이렇게 화폐 경제가 사회적 유동성을 제고시켜 화폐 흐름에 따라 수직 수평의 이동이 전례없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산층은 그 흐름의 희망과 불안을 가장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계층이었다고 보인다. 박완서는 스스로가 중류층임을 강조했고 1970년대 중산층의 움직임을 가장 세밀하고 정교하게 재현한 작가라고 판단된다. 그의 소설과 에세이들은 소유 욕망과 화폐에 민감해진 다양한 인간 군상들을 실감나게 묘사한 것은 물론 중산층의 심리와 가치 지향에 대해서도 풍부한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
    박완서는 상류층과 하층민 모두 도덕적 결함과 정신적 타락으로 올바른 가치를 제시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중류의 삶에 기반한 중산층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러나 중산층은 단단한 실체이기 힘들었다. 화폐의 유동성만큼이나 중산의 위치는 불안했다. 상류와 하류 사이에서 상승의 희망과 추락의 공포로 분열증에 시달릴 수밖에 없는 것이 중산층이기도 했다.
    이 불안과 동요가 초래하는 분열증 속에서 중산층의 자유주의가 자라났다. 박완서는 윤리와 도덕을 강조하고 인간적인 것에 대해 주의를 환기하지만, 그것은 시장의 자유와 능력주의에 기반한 경쟁과 결합되는 것이었다. 이는 부조리하고 타락한 현실을 싸늘하게 비판하지만 그 속에서 자신의 생존을 도모해야 하는 중산층의 딜레마를 자유주의의 미덕으로 해소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It was 1970s that the capitalistic monetary economy of South Korea has begun to emerge in earnest. It meant that the desire for ownership mediated with money was in full flourish widely. Property became a single criterion in c​lassification of social strata and thus it was easier to move up to the upper class than feudal caste system.
    Middle class was a symbol to represent the hope and anxiety in up and down movement. Park, Wanseo stressed that she was a member of middle class, and she wrote the best works to describe minutely everyday life of middle class in 1970s. Her novels and essays depicted vividly a large group of people who were susceptible to the desire for ownership and money as well as portrayed mentality and value orientation of middle class.
    She attributed such importance to the role of middle class to present value in society because she regarded upper class and lower class as degenerated one. But it was difficult for middle class to be a firm substance. Their position was unstable just as flexibility of money. They suffered from schizophrenia between upper class and lower class.
    Liberalism of middle class was brought up in schizophrenia originated from their anxiety and unrest. She pointed out ethic and moral and called attention to humanity but that could not help mingling with the hard struggle for existence based on the free market and meritocracy. If she criticized inexorably corrupted reality she had to survive in it. Thus it seemed that she tried to resolve the dilemma of middle class as a virtue of liber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