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웨덴 교육과정에 나타난 민주주의 이념분석: 1940-60년대와 1990년대 이후 (A Study on Democracy in the Swedish Curricula 1940-)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02
32P 미리보기
스웨덴 교육과정에 나타난 민주주의 이념분석: 1940-60년대와 1990년대 이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평생학습사회 / 10권 / 1호 / 1 ~ 32페이지
    · 저자명 : 황선준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스웨덴은 교육을 통해 어떤 민주주의를 추구하는가이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1940-60년대와 1990년대 이후의 교육과정과 이들 교육과정 개정에 기초가 된 교육 분야의 정부연구조사보고서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이론적 배경은 많은 점에서 서로 대칭되는 개인중심 및 사회중심 민주주의다. 방법론으로는 이념분석 (Analysis of idea, ideology)을 사용하여 민주주의에 대한 시각, 현실인식, 민주주의 창달을 위한 교육적 제안 등을 자료를 통해 분석하는 기법을 사용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민주주의의 원칙과 철학을 신봉하는 아이들을 키우는 민주주의 시민양성이 스웨덴 교육의 가장 큰 가치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 가치 추구가 1940년대와 1990년대 이후의 두 시기 사이에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1940년대엔 세계 대전의 주범인 전체주의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으로 민주주의를 표방하며 민주사회만이 이성과 평화가 깃든 미래 사회를 보장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교육이 독립적이고 비판적이며 협력하는 학생들을 길러내어 사회개혁에 기여하는 사회적 역할에 초점을 두었다. 반면 1990년대 이후에는 학생 개개인의 자질에 초점을 두어 자신의 의사와 요구를 표시하고 남의 의사를 존중하며 경청하는 민주시민을 길러내는 교육의 개인적 차원에서의 역할을 강조했다. 즉 1940년대는 민주사회 건설을 위한 교육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한 반면에 90년대 이후는 민주주의 사상과 원칙을 전달하는 소극적 역할에 치중하고 있다. 나아가 40년대에 제안되고 60년대 초에 완성된 9년제의 보편적 의무교육은 교육민주화의 꽃이라고 한다면 1990년대 초의 도입된 학교선택제(school choice)는 교육에 있어서의 공공선의 추구라는 임무를 저버리고 사적인 선의 추구로 전략한 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스웨덴 국가가 추구한 민주주의는 1940년대의 사회중심 민주주의에서 1990년대 이후의 개인중심 민주주의로 뚜렷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finding out the type of democracy that Sweden seeks to realize in its education. To answer the above question, the article compared the curriculum between 1940s-1960s and the period after 1990s and employed governmental research papers used as basic data to revise the above curricula. Contending theoretical perspectives are raised here as individual-centered and society-centered democracy. From the two differing view points on democracy, it analyzed the changes in democracy that Sweden have pursued. Using the analysis of ideas, this research dissected the views on democracy, perceptions on social realities and educational recommendations for promoting democracy shown in the governmental research papers.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Educating the young to inculcate their democratic civic attitudes is one of the highest values of the Swedish education. Yet, this pursuit of value showed difference between the research periods. In the 1940s, only the democracy was touted as a system to ensure the future society enshrined in reason and peace. It was promoted as the only way to eradicate the totalitarianism culpable of the World War I and II. To this end, emphasis was put on the social role of education to teach the young to be independent, critical and cooperative to make contributions to the social reforms. On the other hand, in the 1990s, more focus was placed on the individual capabilities of the young so that they could express their opinions and demand, listening to others’s views. That is, education in the 1940s emphasized the active role for building democratic society, while the decades after 1990s the passive role for transmitting democratic thought and principles. These divergent views on the role of education seems to reflect the Zeitgeist of the periods under research. Moreover, it is widely believed that the 9-year-long universal compulsory education system, suggested in the 1940s and completed 60s, is the heart of the endeavor for educational democracy. School choice introduced in the early 1990s seems to overlook the pursuit of public good in education and lead to seeking private good. In a nutshell, Sweden tried to realize society-centered democracy in the 1940s and individual-centered democracy in the post-1990s in its educational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