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문에 보도된 고독사에 관한 탐색적 연구 : 2012년~2022년 기사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Lonely Death Reported in Newspapers : Focusing on Articles from 2012 to 2022)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3.03
28P 미리보기
신문에 보도된 고독사에 관한 탐색적 연구 : 2012년~2022년 기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51권 / 1호 / 117 ~ 144페이지
    · 저자명 : 최윤주, 전예빈, 신예림, 이수비

    초록

    최근 한국의 고독사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관심이 반영되어 보도되는 신문기사의 고독사 사례를 통해 생애주기별 고독사의 다차원적 특성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지난 2012년 1월 1일~2022년 5월 31일까지 10여 년간의 국내언론사 신문에 보도된 사례를 대상으로 고독사 현상의 다차원적 특성에 따라 분류 및 코딩하여 분석하였다. 10년 5개월간 국내 19개 일간지에 보도된 고독사 사례 총 170건으로 수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고독사 취약군으로 보았던 노인 및 중장년층 사례 보도 수는 지속해서 유지됐으며, 동시에 코로나19 이후 청년층과 가족 단위 고독사 사례의 보도 수가 급증하였다. 이는 고독사 문제를 전 생애적 관점으로 바라보고, 가족 단위로 확장할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취약한 주거 공간의 거주자와 특정 주거형태가 밀집된 곳에서의고독사 사례가 많이 보도된 것을 통해 고독사의 지역화 현상을 고려할 수 있었다. 셋째, 청년층의 고독사 특성을 통해 사회적 관계망 기능, 신체 및 정신건강이 취약성이 크며, 이로 고독사 위험도가 높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었다. 넷째, 중장년층 이상의 경우 상당수가 기초생활수급자로 복지제도 내부에 편입되어 있지만, 실제 고독사로 이어졌다는 점을 통해 지역사회통합돌봄과 사례관리 서비스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인, 가족 단위의 고독사사례의 대다수는 돌봄과 매우 밀접한 현상임을 탐색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고독사 예방정책을 위한 방향과 대응 방안에 관하여 논하였다.

    영어초록

    Recently, lonely death has been rapidly increasing in Korea.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xplore the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lonely deaths by life cycle through the cases of lonely death in newspaper articles that reflect social interest. Therefore, we classified, coded and analyzed cases reported in domestic media and newspapers for 10 years from January 1, 2012 to May 31, 2022 according to the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lonely death phenomenon. The results of a study conducted with a total of 170 cases of lonely death reported in 19 domestic daily newspapers for 10 years and 5 month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ports of elderly and middle-aged people, who were previously considered vulnerable to lonely death, remained constant, and after COVID-19, the number of reports of lonely death cases in young people and families increased rapidly, indicating that the problem of lonely death has expanded to a lifelong perspective and family unit and social interest has increased. Second, the localization of lonely death could be considered through reports of many cases of lonely death in places where residents of vulnerable residential spaces and specific housing types were concentrated.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lonely death in young people showed that social network functi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were highly vulnerable, leading to the high risk of lonely death. Fourth, the importance of community integrated care and case management services was confirmed through the fact that many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were incorporated into the welfare system as basic livelihood recipients, but they actually died alone. Lastly, by examining in an exploratory way that the majority of cases of lonely death in individual and family units are a phenomenon very closely related to caring, we discussed the direction and countermeasures for future lonely death prevention policies based on these resul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신건강과 사회복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