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저널리즘과 이광수의 문학론 - 1910년대~1920년대 문학론을 중심으로 (Modern Journalism and Kwang Soo Lee's literary theories - Based on Lee's literary theories from the 1910s to 1920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6.06
34P 미리보기
근대 저널리즘과 이광수의 문학론 - 1910년대~1920년대 문학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60호 / 71 ~ 104페이지
    · 저자명 : 김진희

    초록

    근대 시기 동아시아 국가들은 서구 근대 학문을 수용하면서 지식의 실용성에 주목했는데, 특히 식민지하에 놓이게 된 조선의 경우 한말 이후 학문과 지식의 실용성은 계몽의 자장 안에서 식민지 시기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추구되었다. 이런 경향은 당대 지식의 형성과 확장에 주요한 역할을 한 미디어의 장, 즉 저널리즘의 주요한 방향이기도 했다. 식민지하에서 근대 미디어가 근대문학의 생산과 확산에 주요한 매체였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미디어를 움직이는 보다 거시적인 틀로서 저널리즘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1910년대에서 1920년대 걸쳐 근대 매체에 발표된 지식으로서 이광수의 문학론에 대한 재고를 시도해 보았다. 한말 이후 조선의 주요한 지식인이고 다수 문학론의 필자였던 이광수야말로 당대 저널리즘과 근대문학의 관련성을 고찰할 만한 주요한 문학인이었다. 이광수의 「문학의 가치」(1910), 「문학이란 하오」(1916), 「문사와 수양」(1921), 「문학에 뜻에 두는 이에게」(1922), 「문학강화」(1924) 등의 글은 문학론을 구성하는 장르론, 작가론, 독자론 등의 논의로 확장되면서 이광수 문학론을 보완, 완성해나갈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런 변화의 근저에는 당대 저널리즘의 힘이 작동했다. 이런 특성은 저널리즘에 의해 한 작가의 문학론은 물론 지식의 성격이 변화되기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광수는 1910년대에서 1920년대에 이르는 문학론을 통해 문학의 독자성을 바탕으로 실용적인 지식의 성격을 개진했고, 이는 당대 저널리즘의 속성은 물론 그의 내면의식인 계몽에 대한 욕망과도 연동되는 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sees a concept of journalism in broad perspective as a micro framework, which affects media, and also attempts to reconsider the literary theories by Kwang Soo Lee as the knowledge that was published in modern media from the 1910s to 1920s.
    Kwang Soo Lee needed to be noted as the man of letters who is worth being studied with the contemporary journalism as a leading intellectual and writer. This articl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journalism as a driver which had brought the particular difference of literary theory while containing a universal element of enlightenment even though there was a time difference in the emergence of these characteristics. Enlightenment of journalism and particularity of publishing situations, which had last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since the late DaeHanJeGuk, were reviewed in the wake of the conversion of the literary theories by Kwang Soo Lee.
    Since Kwang Soo Lee had shown the first literary theory in the foreign student magazine in 1910, he continued to present his literary theories in the mainstream media. The media had made ​​up their knowledge in the direction of contemporary journalism and new culture. The literary theories by Kwang Soo Lee extended to topics such as the theories of genre, author, reader constituting literary principles, and this could continue to complement and complete the Korean literary theories.
    Those characteristics also showed that the literary theory of an author, namely the nature of the knowledge can be changed by journalism. Kwang Soo Lee constantly put forward the na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of literature through his literary theory, ranging from the 1910s through the 1920s. This was also linked with the desire for the property of contemporary journalism, as well as the ' Enlightenment '- his inner consciousness. Kwang Soo Lee was both a writer and intellectual who quickly grasped the changes in journ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