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농암 김창협의 만년 심성론 형성과 『주자만년정론』의 영향 (The Formation of Nong-am Kim Chang-hyeop’s Later-year Mind Nature Theory and the Influence of 『Juja Mannyeon Jeong-r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2.12
28P 미리보기
농암 김창협의 만년 심성론 형성과 『주자만년정론』의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50권 / 155 ~ 182페이지
    · 저자명 : 김지은

    초록

    기사환국(1689)으로 사사된 아버지의 유계[六則]를 필생의 사명감으로 받든 김창협은 ‘학자로서의 義理 실현’이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주자학을 정론화하는 이론적 작업인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를 교정하는 일을 만년의 과업으로 삼았다. 김창협이 주희의 정설을 정리하기 위하여 주희의 글 및 주희와 관련한 문헌들을 두루 검토하는 과정에서 왕수인의 『주자만년정론(朱子晩年定論)』을 읽어보았음은 그가 1690년에 임영에게 쓴 편지인 「답임덕함(答林德涵)」을 통해 추론 가능하다.
    김창협이 주희의 학문적 입장을 설명하면서 ①주희가 시력 저하로 인해 마음 수양에 몰두하게 된 것, ②마음 수양이 갖는 공부의 효과가 이론 공부보다 큼을 역설한 것, 그리고 ③주희가 만년에 『맹자』의 ‘구방심(求放心)’ 장을 특별히 가르쳤음을 언급한 것은 『주자만년정론』에 수록된 주희의 편지 내용과 일치한다. 김창협이 『주자만년정론』을 접할 수 있었던 경로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중국에서 간행된 최신 서적 등을 쉽게 볼 수 있었던 환경, ⓑ양명학을 높이 평가하였던 정제두와의 깊은 가문적 인연, ⓒ정제두의 사돈이었던 이희조와의 긴밀한 관계가 그것이다.
    주자학의 리기‧심성론 내에서 맹자의 ‘求放心’은 사욕의 개입을 배제하여 궁극적으로 마음 안에 놓인 理로서의 性, 곧 性卽理와 합치되는 삶을 추구하는 공부로 이해될 수 있다. 『주자만년정론』을 통해 ‘求放心’ 공부를 주희 만년의 주된 공부론으로 수용한 김창협은 義理의 실현과 직결되는 求放心 공부의 실질적 효과를 드러내기 위하여 性卽理를 氣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性卽理를 전지리(專指理)의 의미로 보았던 관점으로부터 기중지리(氣中之理)의 관점으로 전환함으로써, 性卽理를 순수한 형이상학적 개념이 아닌 현실에서 개체 내에 실제로 존재하는 본성으로 상정하였다. 이로써 求放心 공부에 매진한다면, 누구나 마음 안에 실제로 존재하는 性卽理의 본성에 따라 매사에 義理를 판단하고 실현할 수 있다는 실천적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性卽理를 氣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한 김창협의 입장은 그가 만년에 개진하는 심성 논의의 논리적 토대가 되면서 그의 만년 심성론의 특징을 형성하였다.

    영어초록

    From a sense of mission, Kim Chang-Hyeop, recipient of his father’s will, who died in Gisa Hwan-guk(己巳換局), devoted himself to correcting 『Juja Daejeon Cha-eui』, a theoretical work that posits the theory of Zhu Xi with the problem of “realizing the principle of justice as a scholar.” It can be inferred from Kim Chang-hyeop’s 1690 letter to Im Young that he read Wang Su-in’s 『Juja Mannyeon Jeong-ron』 in the process of reviewing Zhu Xi’s writings and works related to Zhu Xi to organize Zhu Xi’s orthodoxy.
    As Kim Chang-hyeop explained Zhu Xi’s academic attitude, the mention of ① Zhu Xi becoming immersed in mind cultivation owing to degraded eyesight; ② emphasis on the effect of mind cultivation being greater than the study of theory; and ③ Zhu Xi teaching only the “Gu-Bangsim” chapter of Mencius in later years resembles the contents of Zhu Xi’s letter recorded by Wang Su-in in the 『Juja Mannyeon Jeong-ron』. The path through which Kim Chang-hyeop approached 『Juja Mannyeon Jeong-ron』 is primarily summarized in three ways: ⓐ an environment where he could easily access the latest books published in China, ⓑ deep family ties with Jeong Jae-doo, who highly appreciated Yang-ming Studies, and ⓒ a close relationship with Yi Hee-jo, who was the son-in-law of Jeong Jae-doo.
    Within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the ‘Gu-Bangsim’ of Mencius can be understood as a study excluding intervention of self-interest and ultimately pursuing a life consistent with human nature that is ultimately “li(理) placed in the heart.” Kim Chang-hyeop, who accepted the emphasis of “Gu-Bangsim” through 『Juja Mannyeon Jeong-ron』 as the position of Zhu Xi in later life, tried to understand the mind’s nature in the relationship with qi(氣) to reveal the practical effect of “Gu-Bangsim.” By focusing on “Gu-Bangsim” in this way, anyone could theoretically explain the practical effect of realizing justice in every matter according to the nature that actually exists in the mind. Kim Chang-hyeop’s re-awareness of the “nature in the mind” became the logical basis for the nature of mind discussion he pursued later in life and formed the characteristics of his later Mind Nature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