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크라테스 대화법 관련 교육연구 현황 분석: 2015년-2022년까지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Research on “Socratic Dialogue Method”: 2015-2022)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4.02
27P 미리보기
소크라테스 대화법 관련 교육연구 현황 분석:  2015년-2022년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4권 / 4호 / 885 ~ 911페이지
    · 저자명 : 이지윤, 정대련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22년 개정 교육과정 시행을 앞둔 현시점에서 소크라테스 대화법과 관련한 교육 연구 현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두고 있다.
    방법 2015년부터 2022년 12월까지 발표된 교육분야의 소크라테스 대화법 관련 학위논문 및 국내 학술지 자료 130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1차적으로 유⋅초⋅중⋅고등학교 학교급에 따라 연구유형을 분석하였다. 2차적으로 연구유형을 연구내용에 따라분류하여 적용 교과 현황, 연구주제, 활용 문헌과 모형들을 세부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유형은 전반적으로 문헌연구에 편중되어 있었다. 특히, 공동 또는 초등 및 고등학교 대상 연구들에서 문헌연구의비중이 높았으며, 유아 대상으로는 양적연구가, 중학교 대상으로는 질적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소크라테스 대화법 관련 연구130편 중 72편은 기초연구로 분류되었으며, 주로 ‘교육전반’, ‘도덕’교과에 집중되어 있었다. 실천연구의 경우, ‘도덕’과 ‘철학’ 교과에 주로 적용되고 있었으며, 특히 유아 대상으로는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의활용 문헌과 모형을 검토한 결과, 기초연구에서는 「대화편」을 가장 많이 활용하며, 「대화편」의 교육적 함의, 즉 ‘교수방법’, ‘교사상’, ‘교육목적’, ‘교육내용’ 등을 중심으로 살피고 있었다. 또한「대화편」에 나타난 핵심개념을 활용하여 ‘진리추구’,‘지식’,‘지행합일’,‘지혜’를 교육목적으로 강조하고, 소크라테스 대화 전략 중 엘렌코스(Elenchos)방식을 가장 많이 분석하고 있었다. 실천연구에서는 50% 이상이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실시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2024년)에 앞서, 2015년 교육과정 개정 이래 소크라테스 대화법과 관련된 교육연구 현황을 검토함으로써 후속 연구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적 연구 자료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al research related to the Socratic Dialogue method,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upcoming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2022 curriculum.
    Methods The study involved analyzing 130 scholarly articles and thesis related to the Socratic method in education, published between 2015 and December 2022. Initially, the research classified by the types of studies according to school grades and research methods to analyze their current state. For a more comprehensive analysis, the study further categorized research types based on content, examining the status of applied subjects, research topics, and the use of literature and models.
    Results Firstly, the research types were predominantly literature studies. In particular, literature studies were prevalent in joint or elementary and high school-targeted research, while quantitative studies were common for early childhood and qualitative studies for middle school. Secondly, out of 130 studies related to the Socratic method, 72 were classified as basic research, mainly focusing on ‘general education’ and ‘moral’ subjects. In practical research, ‘moral’ and ‘philosophy’ subjects were commonly applied, especially ‘philosophical (community of inquiry activiti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rdly, upon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models used in the research, basic research most frequently utilized ‘Dialogues’, focusing on educational implications like ‘teaching methods’⋅’teacher's role’⋅‘educational objectives’⋅‘content’. They emphasized educational objectives such as ‘truth-seeking’⋅‘knowledge’⋅‘unity of knowledge and action’⋅‘wisdom’, using key concepts from the ‘Dialogues’ and frequently analyzing the Elenchos method of Socratic dialogue. In practical research, over 50% reported results from conducting philosophical inquiry community activitie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reviews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al research related to the Socratic method since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in anticip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2022 curriculum (in 2024). It provides foundational research material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subsequent studies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전